송상현 기자 songsang@busan.com | 2025-07-02 10:47:16
태광산업이 자사주 전량을 담보로 교환사채(EB)를 발행한 데 대해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2일 “정부 시책에 대한 전면 도발, 정면 도전을 선포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참여연대 경제금융센터, 한국투명성기구, 금융정의연대, 경제민주화시민연대, 민주노총 전해투 등 9개 노동시민사회단체는 논평을 내고 “이재명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이 근본부터 무력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이들은 “주주의 권익을 훼손하고, 경제정의를 역행하며, 시대정신을 외면하는 태광그룹에 대해 관계 기관의 엄정한 제재를 촉구한다”며 “새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 중 하나인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기 위해 결행된 태광산업의 교환사채 발행은 국가경제와 사회, 국민의 이익에 반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직 태광그룹 총수인 이호진 전 회장 한 사람의 지배구조 강화를 위한 결정이라는 사실은 명명백백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태광산업은 지난달 27일 이사회에서 자사주 전량(지분율 24.41%)을 교환 대상으로 하는 3186억 원 규모 교환사채(EB) 발행을 의결했다. EB는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나 다른 법인의 주식으로 교환해 줄 수 있는 회사채로 사실상 유상증자와 유사하게 기존 주주들의 지분이 희석되는 효과를 낳는 것이어서 논란이 불거졌다.
더군다나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상법 개정안에 자사주 소각 의무화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커지자 법 시행 전에 자사주를 최대한 활용해 투자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일종의 ‘꼼수’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들 단체는 교환사채를 발행해 마련한 자금으로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태광산업의 계획에 대해서도 의문을 표했다.
이들은 “대한민국의 50대 기업이 무려 30개월 전에 총수의 사면 복권을 앞두고 약속한 12조 원 투자를 지금껏 철저히 외면하고, 오너 부재를 끊임없이 변명하는 행태는 이 나라 기업 문화의 수준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는 어두운 단면”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태광산업은 교환사채 발행 공시와 함께 그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고 밝혔으나, 부동산부터 블록체인, 금융투자업, 뷰티 등 경영 복귀를 노리는 이 전 회장의 사익 편취 계획으로 의심되는 업종을 대규모 투자로 포장해 또다시 정부와 국민을 기망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호진 전 회장을 둘러싼 각종 논란을 두고도 비판을 이어갔다. 이들 단체는 “이호진 전 회장은 윤석열 정부 당시 법무부 유착 의혹에도 사면 복권을 받은 바 있으며 지난 십수 년간 여러 차례 로비 스캔들을 일으킨 장본인”이라며 “2020년 ‘황제 보석’ 사건으로 국민적 논란을 일으킨 바 있으며, 이후에도 2022년 ‘흥국생명 채권 사태’로 국가 신인도 위기를 야기하는 등 갖은 논란과 기행을 반복해 온 족벌 경영의 대표적인 폐해라고 할 수 있다”고 힐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