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정동만 신임 부산시당위원장이 24일 취임 후 처음으로 박형준 부산시장을 만났다. 통상적인 상견례 자리지만 내년 지방선거를 1년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 이뤄진 회동인 만큼 지역 정치권에서는 두 사람의 만남 자체에 촉각을 세우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정 시당위원장과 박 시장은 이날 오후 부산시청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지난 13일 정 시당위원장이 국민의힘 부산시당 신임 사령탑으로 선출된 이래 두 사람의 첫 대면이다.
두 사람은 시종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덕담을 주고받는 가운데 지역 현안에 있어서 만큼은 진중한 표정으로 한목소리로 강한 추진 의지를 내비쳤다.
박 시장은 “부산은 해수부 이전을 비롯, 해양수도 건설을 위해서 여러가지 기능과 기업을 부산에 유치해 그동안 추진해 왔던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이나 산업은행 부산 이전 등을 동시에 추진해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며 “이러한 일을 추진하는 데 있어 부산시와 국민의힘 부산시당이 힘을 합치고, 또 정 시당위원장이 큰 역할을 해주기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정 시당위원장은 “부산의 현안이 많은 지금은 참으로 엄중한 시기”라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따른 추가 공공기관 이전도 필요하며 동시에 산업은행도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덕신공항 개항 등의 문제도 있는데 국회의원들이 힘을 뭉쳐 박 시장과 함께 부산시와 부산시민이 행복한 도시를 함께 만들어 나가겠다”고 박 시장 발언에 화답했다.
이처럼 박 시장과 정 시당위원장의 이번 회동은 신임 시당위원장 이후 진행되는 정치권의 일반적인 관례다. 그럼에도 부산 정가에서는 이재명 정부 출범 1년 만에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는 만큼 이들 만남에 상당한 관심을 쏟는다.
박 시장의 경우 3선 도전 의지를 이미 밝힌 상태다. 부산의 국민의힘 다선 의원들과 예상치 못한 제3의 인물 도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본선행 티켓을 거머쥘 것으로 단정할 수 없지만 유력 주자라는 데에는 야권 내 이견이 없다. 이러한 가운데 임기가 1년인 정 시당위원장은 내년 지방선거를 이끌어야하는 위치에 있다. 결국 박 시장이 최종 국민의힘 부산시장 후보가 될 경우 사실상 부산의 2026년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이끌 투톱인 셈이다.
특히 지방선거는 광역단체장부터, 기초단체장 그리고 광역·기초 의원을 한 정당 소속 후보로 찍는 줄투표 경향이 강한 선거라는 점에서 부산시장 후보로 나설 가능성이 있는 박 시장과 정 시당위원장의 호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더욱이 내년 지방선거에서 부산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후 적극적인 지역 공략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두 사람에게는 쉽지 않은 선거이다. 이에 지방선거가 10개월여 남았지만 이번 자리는 선거를 겨냥, 지역 내 지지층에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내년 선거에서 보수층 결집을 위한 사전 정지 작업이라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