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 김재량 기자 ryang@busan.com | 2025-07-24 19:27:00
부산시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충전 금액이 적혀 기초생활 수급자 여부 등이 노출된다는 지적(부산일보 7월 24일 자 2면 보도)에 충전 금액을 가리기 위해 불투명 스티커 60만 장을 배포하고 앞으로 제작하는 선불카드부터 금액을 표시하지 않기로 했다.
부산시는 부산 전역 행정복지센터에 ‘Busan is good’ 문구가 적힌 불투명 스티커 25만 장을 배포했다고 24일 밝혔다. 또한 오는 28일까지 스티커 35만 장을 추가로 제작해 배포할 계획이다. 이날부터 지급되는 선불카드 상단의 충전 금액이 가려진다. 공무원이 주민에게 선불카드를 건네기 직전마다 스티커를 붙인다.
이와 더불어 현재 제작 중인 선불카드에서 43만 원 충전 금액 표시를 우선 없애기로 했다. 43만 원 선불카드는 이미 거의 동이 나 카드를 추가 주문해 현재 만들고 있다. 18만 원, 33만 원 선불카드는 아직 물량이 남아 있어, 추가 제작 때 금액 표시를 하지 않을 방침이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3일 수혜자 신분이 노출된다는 논란에 대해 “전형적인 공급자 중심 행정 편의주의”라며 “즉각 시정하라”고 지시했다. 대통령 지적 하루 만에 관련 대책이 수립됐다.
신청자 소득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선불카드를 지급한 광주시는 지난밤 선불카드에 빨간색 스티커를 일괄적으로 붙여 색깔을 통일했다. 지난 23일 오후 9시부터 광주시 행정복지센터 직원 약 400명이 모든 카드에 스티커를 붙이기 시작했고 일부 행정복지센터에서는 자정이 넘어서까지 작업이 이어졌다. 업무 과중 논란이 일자 이날 전국공무원노조 광주지역본부까지 비판 성명을 발표하겠다고 나서는 등 반발이 일기도 했다.
부산시 중소상공인지원과 관계자는 “광주처럼 직원들이 야간까지 스티커를 붙이는 일은 없었다”며 “임시방편인 스티커 부착 이후에는 소득 수준을 파악할 수 없는 방식의 카드를 제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