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북한의 잇따른 미사일 도발에 따라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 도입을 서두르기 시작했다.
10일 NHK는 일본 방위성이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사드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지난 3일 북한이 발사한 중거리탄도미사일 노동이 1천㎞를 날아 일본 서부 아키타(秋田)현 오가(男鹿)반도 서쪽 250㎞ 지점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 떨어진 것에 따른 일본정부의 대책 차원이다.
당시 일본 정부는 북한의 노동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해 아무런 대비도 하지 못했다. 이에 일본내에서도 북한 미사일이 안보상 중대한 위협으로 떠올랐다.
노동 미사일은 최대 사거리가 1천300㎞에 달해 북한이 동쪽 지역에서 발사하면 주일미군 기지 등 사실상 일본 본섬 대부분을 타격할 수 있다.
NHK는 방위성이 이런 점을 고려해 북한 미사일에 대한 방위 강화를 위해 한국 배치가 결정된 미국의 사드를 자국내에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한 방위성이 지대공 유도미사일 패트리엇(PAC3)을 조기에 확충하기로 하고 관련 비용을 올 2차 추경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사진=YTN 뉴스 캡처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