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에어팟 등장에 전자파 유해성 논란 재연

2016-09-14 13:51:05

애플이 아이폰7을 출시하면서 유선 이어폰 단자를 없애고 무선 이어폰 '에어팟'을 내놓자 전자파 유해성 논란이 다시 재연되고 있다.

14일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일부 전문가들은 이 기기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블루투스 기술로 작동하는 에어팟은 저강도 전자파를 귓속으로 보내는데 여기에 장기간 지속해서 노출되면 뇌에 독성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혈액뇌관문이 닳아버릴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주립대 조엘 모스코비츠 교수는 "전자기파가 방출되는 기기를 뇌 옆에 놓는 것은 거기서 불장난하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에어팟 블루투스에서 방출되는 전자파의 정확한 주파수와 방출량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물론 이번 논란은 에어팟뿐마나 아니라 모든 블루투스 이어폰에 해당된다. 하지만 관련 업체들은 과거부터 블루투스 기기에서 나오는 전자파 방출량은 연방정보통신위(FCC) 규제 기준치 이하이며 전자레인지에서 나오는 것과는 수준이 다르다며 일축해왔다.

이와 관련해 모스코비츠 교수는 "전자기장을 연구한 200명이 넘는 과학자들이 현행 FCC 규정이 건강 보호에 미흡하다고 믿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블루투스 전자기파도 유해하다는 건 수십년 전부터 알려진 것이나 정부당국이 정책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방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미국 일간지 LA타임스는 "애플의 새 에어팟이 암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라는 제목으로 이와 상반되는 내용의 기사를 실었다. LA타임스는 "전문가들은 음악을 너무 크게 들으면 청력이 손상될 가능성은 있지만 뇌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고 전했다.

펜실베이니아대학 생체공학자 케네스 포스터 교수는 "애플의 여러 블루투스 무선 헤드셋들의 출력은 10~18 밀리와트에 불과하고 실제 그 에너지의 1% 미만만 전자기파 형태여서 휴대전화기에서 나오는 전자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모스코비츠 교수는 "설령 블루투스 기기들의 장기적 위험성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더라도 휴대전화를 더 안전하게 사용할 방법들이 있는데 왜 전자파를 방출하는 기기를 뇌 옆에 자리한 귀에 꽂으려 하느냐"며 유선 헤드셋이나 스피커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