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트램 사타 "월영동~시청~진해구청 가장 적절"

수요 많고 마창진 연계 노선 낙점
사업비·운영비 1.5~1.7배 증가
트램·BRT 혼용 관련 법령 준비
무궤도차량 운행시스템 고려도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2025-05-07 08:00:00

경남 창원시청 청사 전경. 부산일보DB 경남 창원시청 청사 전경. 부산일보DB

경남 창원시가 도심을 가로지를 트램(도시철도) 설치에 대해 분석한 결과 마산·창원·진해를 모두 아우르는 ‘월영동~창원시청~진해구청’ 구간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창원시는 최근 ‘창원 도시철도 사전타당성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창원 트램은 경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돼 추진되는 사업이다. 2023년 5월 국토교통부로부터 3개 노선을 승인받은 뒤 창원시는 지난해 1월부터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에 착수해 노선별 실현 가능성을 검토해 왔다.

경쟁 3개 노선은 마산역~창원중앙역 15.8km, 창원역~진해역 19.3km, 월영동~창원시청~진해구청 33.2km 등이다.

용역 결과 ‘월영동~창원시청~진해구청’ 노선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진단됐다. 이용 수요가 가장 많은 데다 마산·창원·진해 지역을 연계할 수 있어 경제성과 지역균형발전 등 종합적인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트램 사업비와 운영비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비는 기존 6819억 원에서 1조 606억 원으로, 운영비는 202억 4000만 원에서 351억 원으로 각각 1.5배, 1.7배 증가가 예상된다. 때문에 재정 건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보다 현실적인 사업 추진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또, 트램과 BRT(간선급행버스체계)가 혼용되는 구간은 환승 효율성 측면에서 장점으로 부각되지만, 혼용에 대한 법적인 규정이 없다. 결국 해당 법령 개정도 담보돼야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부 전문가는 궤도차량인 수소트램에 사업을 국한하지 않고, 최근 모빌리티 규제 샌드박스 특례를 통과한 ‘무 궤도차량’ 등 새 시스템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창원시는 앞으로 트램과 BRT의 병행 추진에 따른 문제점 해소, 관련 법령과 제도개선, 트램 도입에 대한 시민 수용성 확보, 사업성·재정건전성 확보 방안 마련 등을 마련해 종합 추진 계획을 세운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선결 과제를 풀어낸 이후 국비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창원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통해 최적 노선에 관한 결과가 나왔지만, 법령 개정 등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전에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아 신청 시기를 가늠하기 어렵다”며 “대규모 예산이 수반되는 만큼 미래교통 환경과 재정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실행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 말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