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으로 부산 해양 스타트업에 투자·지원 확대 기대”

해수부 주최 스타트업 간담회
“투자 대부분 수도권 기업 집중
기술 상용화 위한 지원 절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2025-07-01 18:10:06

지난달 30일 부산 동구 부산워케이션센터에서 열린 ‘해양수산 스타트업 간담회’. 박혜랑 기자 rang@ 지난달 30일 부산 동구 부산워케이션센터에서 열린 ‘해양수산 스타트업 간담회’. 박혜랑 기자 rang@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투자가 절실한 부산 해양 스타트업들이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부산은 가장 많은 해양수산 벤처기업들이 몰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유치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려 있는 실정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최근 발간한 ‘해양 스타트업 실패 자산화 방안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해양 스타트업은 전체 총 1210개 사로 부산(21.7%)에 가장 많은 기업이 몰려 있다. 하지만 투자를 유치한 해양수산 기업의 22.4%가 서울에 기반을 둔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투자를 유치한 기업 중 14.7%만이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양 관련 연구·교육 기관 등 풍부한 인프라에도 스타트업 성장 기반이 부족한 부산의 현실이 반영된 결과다.

부산의 해양수산 기업들은 초기 스타트업에 몰려있는 지원 사업이 도약 단계에 있는 기업으로까지 확장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해수부의 창업투자 지원 프로그램 대부분은 7년 이내의 초기 스타트업 지원에 집중돼 있다.

지난달 30일 오후 1시께 부산 동구 초량동 아스티호텔 부산워케이션센터에서 해수부와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동남권센터가 주최하는 ‘해양수산 스타트업 간담회’에서도 이 같은 의견이 제시됐다.

차완영 마린이노베이션 대표는 “수산 부산물 재가공 업체인 마린이노베이션은 2019년에 창업해 이제는 대량 생산하는 단계에 와 있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받을 수 있는 지원이 없다”며 “해외 투자사들은 우리 회사가 아프리카나 동남아에 진출하면 투자하겠다는 의사를 밝힐 만큼 적극적인데, 국내에는 이런 투자가 없어서 아쉽다”고 말했다. 정영인 씨라이프사이언스 대표도 “해양수산 관련 모태펀드가 부산에는 별로 없다. 사업 지원을 받으려면 서울에 올라가서 이야기해야 하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게다가 스타트업 지원 사업이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흩어져 있어, 해양수산 분야에서의 지원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불만도 터져 나왔다. 서광훈 토즈 대표는 “해양수산 분야에서 해운·물류가 창출하는 가치가 가장 큰데도 불구하고 해수부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고, 해수부가 하는 투자는 수산 분야에 집중돼 있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더 체계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게 해 달라는 요청의 목소리도 나왔다. 옥수석 언더워터솔루션 대표는 “해양 관련 기관들을 비롯해 부산 지역 대학들에서 관련 기술들이 많이 개발돼 있다”며 “하지만 체계적인 지원이 없어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산학연을 아우를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생겨 각 지원들이 적재적소에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