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구의회 국힘 의원들 ‘산은 동시 이전’ 성명에도 싸늘한 여론

‘해수부 결의안’ 부결 후폭풍
민주 “부산 짓밟고 있다” 압박
지역 시민사회도 비난전 가세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2025-07-02 18:23:16

부산 해운대구의회 소속 국민의힘 구의원들이 해수부 이전 촉구 결의안을 부결시켜 논란이 되자 지난 1일 해수부와 산업은행 동시 이전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해운대구의회 제공 부산 해운대구의회 소속 국민의힘 구의원들이 해수부 이전 촉구 결의안을 부결시켜 논란이 되자 지난 1일 해수부와 산업은행 동시 이전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해운대구의회 제공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 입장을 밝힌 부산 해운대구의회 국민의힘 구의원들에 대한 공세 수위를 올리고 있다. 공격 대상을 부산 국민의힘 전체로 확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압박하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여론전 고삐를 죄는 모양새다. 지역 시민단체들도 함께 가세하면서 국민의힘을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

민주당 강서구 지역위원회 변성완 위원장은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민의힘이 부산의 미래를 짓밟고 있다”며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물론 부산을 지역구로 하는 지방의원들이 자신들의 정치적 이익만을 따지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민선 7기 구청장을 역임했던 서은숙, 정명희 등 민주당 부산 지역위원장들도 페이스북에서 국민의힘 부산 의원들을 향해 “해수부 이전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목소리를 냈다.

앞서 해운대구의회에선 지난달 19일 민주당 소속 구의원들이 발의한 ‘해양수산부 부산 조속 이전 촉구’ 결의안을 국민의힘 구의원 10명이 부결시켰다. 당시 국민의힘 김상수 구의원은 “해수부 부산 이전에는 당연히 찬성하지만, 순서가 틀렸다는 의미에서 반대 의사를 표한 것”이라며 “산업은행 이전과 이재명 대통령의 재판을 촉구하는 건의안 통과가 우선이라는 의미”라고 부결 이유를 밝혔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부산 시민들은 국민의힘 의원들이 지역균형발전은 외면한 채 당리당략에만 매몰됐다고 성난 민심을 표출했다. 2일 기준 해운대구의회 ‘자유게시판’과 ‘의회에 바란다’ 게시판에는 최근 사흘 동안 430여 개의 시민 댓글이 달렸는데 “해수부 이전을 신속히 진행해야 한다”며 부결 결정을 비판하는 댓글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해운대구의 국민의힘 기초의원들은 지난 1일 부랴부랴 해수부와 산업은행 동시 이전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지만 논란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는 모양새다.

시민단체들도 해운대구의회 국민의힘 구의원들의 행동에 비판하고 나섰다. 2일 부산참여연대, 건강사회복지연대 등으로 꾸려진 시민과함께 부산연대는 해운대구의회 국민의힘 구의원들이 해수부 부산 이전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부결시킨 데 대해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부결에 동참한 구의원들을 향해 “최소한의 일관성조차 상실했다”며 “부산 현안은 안중에도 없는 ‘서울의 힘’인가”라고 질타했다.

부산 지역 사회는 이명박 정부 시절 폐지된 해수부가 2013년 박근혜 정부에서 부활할 때부터 해수부가 부산에 위치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부산은 세계 2위 환적 항만, 국내 최대 수산물 거래소 등을 보유한 해양산업의 중심지이자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진흥공사 등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 다수가 이미 부산에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정작 정책 컨트롤타워인 해수부와 주요 민간 해운기업 대부분은 수도권에 몰려 있는 상황이다. 날이 갈수록 침체하는 지역 경제 위기 속 해수부 이전을 발판으로 해양산업을 키워 새로운 도시 발전의 원동력을 삼고자 하는 절박함에서 나온 구상인 만큼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사안인 것이다.

한편 이번 사태에 대한 부산 민주당의 강한 대응을 두고 내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둔 여론전의 시작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해수부 이전과 함께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한 HMM 이전 등을 관철한다면 부산 여론도 여권으로 기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의힘이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며 발목을 잡는다고 강조하면서 민심을 여권으로 묶어두겠다는 전략이라는 해석이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