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영 기자 key66@busan.com | 2025-04-03 17:02:09
올해 첫 아트페어인 2025 BAMA 제14회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가 3일 오후 언론 기자단(press)과 VIP 프리뷰를 시작으로 화려하게 개막했다.
사단법인 부산화랑협회가 주최하고, 2025 BAMA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올해 BAMA는 6일까지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 진행되며, 국내외 133개 갤러리가 참여해 4000여 점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오후 5시 개막식에는 박형준 부산시장을 비롯해, 문화체육부 이정우 문화예술정책실장, 강승완 부산현대미술관장, 서진석 부산시립미술관장 등이 참석했다.
부산화랑협회 채민정 회장은 인사말에서 “2025년 BAMA는 대형 아트페어의 시작을 알리며 해외 7개국 15개 갤러리를 비롯해 133개 갤러리가 참가하는 미술 축제로서 예술가와 갤러리, 컬렉터가 만나 소통하는 장일 뿐만 아니라 예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플랫폼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본 전시 외에도 다양한 특별전이 준비된 만큼 기대할 만하다”고 전했다.
이번 BAMA에 참여하는 부산 주요 화랑은 채 회장이 운영하는 채스아트센터와 윤영숙 BAMA 공동위원장의 오션 갤러리를 비롯해 데이트 갤러리, 맥화랑, 소울아트스페이스, 모제이 갤러리 등 26개에 이른다.
올해 BAMA가 공을 들여 준비한 특별전은 디지털 아트와 AI가 융합한 ‘위드 바다’, 신구 세대 조각 특별전, 20~30대 젊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선보일 ‘2030 포커스 온’과 ‘영 프런티어 스페셜 X’, 파리의 낭만이 담긴 ‘미셸 들라크루아’, 11살 꼬마 ‘로빈’ 전시 등이 있다.
특히 전시장 맨 안쪽을 넓게 차지한 ‘위드 아트’ 존에서 열리고 있는 신구 세대 조각 특별전은 전통 조각과 현대 조각의 대비를 통해 조각 예술의 변화와 가능성을 탐구한다. 자연적 질감을 살린 원목, 철재 등의 물성을 활용해 독창적인 조형미를 창조하는 이재효 작가 작품 다수와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주제로 작업하는 도예가 강경연의 ‘보이지 않는_흰 망토 여인’과 ‘누구의 손도 아닌’ 등이 전시된다. 미래 조각에 관심이 많다는 강재원 작가 작품은 전시장 입구에서부터 만날 수 있다.
신진 작가 인큐베이팅을 목적으로 선보이는 ‘2030 포커스 온’에는 200명 이상 지원해 이 중 16명을 선정했다. 선정 작가로는 황영록, 곽나은, 김우솔, 김현경, 민보라, 김보민, 김지호, 정혜민, 김이린, 김지연, 유지희, 김세현, 이진구, 방인균, 도근기, 최세윤 등이 이름을 올렸다. 전시장에서 만난 김지호는 미국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스쿨(RISD)에 재학 중인 신입생이었는데 “개인적으로 첫 공모전 전시여서 기쁜 마음으로 미국에서 달려왔다”며 고교 3년간의 어려웠던 시절을 돌아보는 ‘해방’ 시리즈 4점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젊은 작가들이 예술계의 차세대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영 프런티어 스페셜 X’는 올해 2월 부산 지역 미술학과를 졸업한 작가 중 엄선한 ‘2024 디그리쇼’ 발굴 신진 작가 6명의 작품을 전시한다. 참여 작가는 김가희, 김민기, 김진재, 송예원, 신동기, 이루나 등이다.
마지막 특별전으로 합류한 ‘로빈’은 11살 초등학생 석로빈(경기 파주) 군 작품이 전시된다. 세 살 무렵부터 매일 그림을 그리고 즐거워했다는 로빈 군은 자유롭게 마음 가는 대로, 느껴지는 대로 붓과 펜을 움직였다는데 다채로운 감정이 가득하다. 로빈 군은 “아트페어 참여는 처음이고, 지금까지 작품을 판 적은 없는데 이제부터 팔 것”이라면서 “혹시 작품이 팔리면 맛있는 것을 사 먹고 싶다”고 말해 어린아이다운 천진난만한 모습을 보였다.
BAMA는 또 6일까지 매일 오후 3시 세 차례의 아트 토크 특강과 도슨트 투어 등 미술 팬이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4일 첫날 아트 토크는 이지현 널위한문화예술 공동대표가 나와 ‘컬렉터와 작가에게 모두 필요한 지속 가능한 미술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가고, 5일엔 <컬렉터처럼 아트 투어>의 저자 변지애가 ‘아트 컨설턴트가 전하는 2025년 미술품 컬렉션 트렌드’를, 6일엔 서진석 부산시립미술관장이 ‘포스트 디지털 시대 예술의 새로운 경향’을 강연한다. 이 외에 하루 3~4차례 준비된 도슨트 투어는 매회 15명 선착순으로 현장 인포메이션 데스크에서 접수한다. BAMA 일반 관람은 4일 오전 11시부터 시작된다. 입장료 VVIP(도록 제공 등) 10만 원, 일반 성인 2만 원, 청소년 1만 5000원. 문의 051-754-7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