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2025-07-24 12:09:09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24일 이재명 대통령 부산 공약인 해수부 이전, HMM 이전, 해사전문법원 유치,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 4개 주요 과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재수 장관은 이날 오전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해수부가 연말까지 내려가고, HMM을 비롯한 해운대기업, 해사전문법원, 동남투자은행 등 어느 것이 먼저다 할 것 없이 압축적·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성과가 먼저 나오고 좀 뒤에 나오는게 있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는 식으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또 해수부 기능 강화론과 관련,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이 믹스되려면 (산업통상자원부)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룰 가져와 해수부 기능과 역할이 강화되면 시너지 효과를 더 가속화시킬 것”이라며 “조선·해양플랜트 기능 이전도 해수부 기능 및 역할 강화 측면에서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부에서 해수부로 조선·해양플랜트 업무를 이관하려는 과제에 대해 "산업부에서 1개과 10명이 일하는 데, 해수부에 오면 같은 10명에 1000배, 1만 배 실적을 낼 수 있다고 믿는다"라며 "정부 내 토론 때도 강력하게 주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사실상 3심이라 할 수 있는 해사전문법원이 사법 기능을 총괄하고, 경쟁력 있는 내로라하는 해운선사들, 여기에 전문 투자하는 동남투자은행-물론 지금 (총자본금) 3조 원 규모로 출범하지만 하다 보면 5조, 10조 원이 될 수도 있다”며 “(이들 기관·업체가) 기존 인프라와 제대로 시너지 효과를 내고, 해수부가 행정력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로서 키잡이 역할을 한다면, 한반도 남단에 새로운 성장엔진을 만들 수 있다. 서울과 수도권에 버금가는 경제 규모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 장관은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한반도 동남권에 ‘해양수도권’을 만들자는 것”이라며 “시너지를 내면 새 성장엔진을 만들 수 있다. 새 바닷길인 북극항로가 열리면 엄청난 변화가 생길텐 데, 해수부가 부산에 내려가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울경의 기존 항만·해운·조선·산업·인재 인프라에 행정·사법·금융까지 집적해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겠다"고 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에 따른 해수부 직원 이사 지원 등과 관련해서는 "선례를 모으고 있다"며 "원칙은 불편함을 걷어낼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
전 장관은 정치권 일각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이 내년 지방 선거용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 데 대해 "(이전이) 너무 잘 돼 긍정적이라서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겠으나, (선거를) 전제로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내년 지방서거 부산시장 출마 여부에는 확답을 피했다.
전 장관은 "기후변화, 식량안보 위기 등이 있어 수산 분야에 신경을 써야 한다"며 "전담 차관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피력했다. 그러면서 "기후 위기로 수산 패러다임을 완전히 전환해야 할 시점에 농촌진흥청과 같은 수산청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부처마다 (청이) 있으면 정부의 지불 능력이 될까"라고 반문하면서 "정부 내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장관은 “해수부가 (부산으로) 내려가는 조치 자체가 엄청난 상징적 의미, 실효성을 가진 조치”라며 “(해수부 이전 등 4개 공약은) 부울경 맞춤 공약이지만, 근본·근원적으로는 대한민국 성장전략 발전전략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몇 년 뒤 (해수부·HMM 이전,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본다"며 "현재 17개 시·도 지역 내 총생산(GRDP) 2500조 원 중 수도권의 비중이 53%이고 경남 5.7%, 부산 4.7%, 울산 3.7%인 데, 분명 숫자 변화가 이와 달라질 것"이라고 자신했다.
직원 이사 지원 등과 관련해서는 "선례를 모으고 있다"며 "원칙은 불편함을 걷어낼 수 있는 자원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