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 합의 못 한 채 귀국한 산업장관…대통령실 “영점 맞추는 중”

지난 12일 뉴욕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 협의
투자 내용, 이익 배분 등서 이견 아직 있는 듯
조지아주 구금 사태 관련, 비자 개선 여부도 주목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2025-09-14 16:16:33

미국 현지에서 한미 관세협상 관련 후속 협의를 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오전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현지에서 한미 관세협상 관련 후속 협의를 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오전 영종도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의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귀국했다. 김 장관은 이번에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 만나 한국의 대미 투자 관련 세부 내용 등을 조율했으나 최종 합의에 도달하지는 못했다.

이날 새벽 인천공항에 도착한 김 장관은 공항 입국장을 빠져나오면서 협상 성과 등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양자 간 협의가 진행 중인 상황”이라며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다. 앞서 김 장관은 지난 12일(현지 시간) 뉴욕 모처에서 러트닉 상무장관과 만나 한국이 약속한 총 3500억 달러(약 486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의 구조, 방법, 이익 배분 방식 등 세부 내용 등을 놓고 합의 도출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양측은 회담 종료 후에도 관련 내용을 일체 밝히지 않고 있어 이견이 여전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한국은 기업 부담이 큰 직접 투자 비중을 최대한 낮추고 보증으로 이를 채우길 원하지만, 미국은 직접 투자 비중을 높이라고 압박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이익 배분도 미국은 투자금 회수 전까지 수익은 절반으로 나누되, 투자금 회수 후에는 수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가는 ‘일본 모델’을 내세우고 있지만, 한국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은 러트닉 장관이 일본 모델 수용을 요구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일본 모델이라기보다는 어차피 관세 패키지가 있는 상태”라며 즉답을 피했다.

김 장관은 또 미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등 330명이 체포·구금됐던 사건과 관련해 재차 우려를 표하고, 한국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미국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비자 문제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장관의 방미 결과와 관련, “지금의 협상은 하나의 정해진 목표를 두고 함께 다가가는 협상이 아니라, 서로 새로운 조건을 제시하며 최적의 균형을 맞춰가는 협상”이라며 “한미가 서로의 영점을 맞춰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