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울산 AI 데이터센터’ 대규모 확장 검토

3일 코엑스에서 ‘SK AI 서밋 2025’ 개최
AI DC 확장 등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 공개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2025-11-03 13:44:44

정재헌 SK텔레콤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정재헌 SK텔레콤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울산 AI데이터센터(AI DC)의 확장을 검토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최고경영자(CEO)는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울산 AI DC 확장 등의 내용을 담은 AI 인프라 전략을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SK텔레콤은 아마존웹서비스(AWS)를 포함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 확대를 모색하며, 울산 AI DC를 총 1GW 이상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제2, 제3의 울산 AI DC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자본의 한국 투자를 유도하고, 한국을 아시아 최대 AI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정 CEO는 “울산 AI DC 공개 이후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SK텔레콤의 AI DC 개발 역량에 주목하기 시작했다”며 “대한민국이 아시아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할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CEO는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을 앞세워 SK그룹 관계사들과 함께 동남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공개했다. SK텔레콤은 향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까지 AI DC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정 CEO는 “AI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통신사가 확보해온 네트워크 인프라가 재조명받고 있다”며,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AI DC와 온디바이스 AI 사이의 간극을 메꿀 수 있는 ‘에지 AI’와 AI가 적용된 지능형 통신망 기술 ‘AI-RAN’은 통신사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엔비디아로부터 RTX PRO 6000 GPU 2000여 장을 도입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할 계획도 밝혔다. 정 CEO는 “SK하이닉스를 비롯한 SK그룹 주요 제조사의 AI 전환에 제조 AI 클라우드가 활용될 예정으로, 제조 현장의 디지털 트윈, 로봇 AI 등 제조 AI 기반 혁신을 촉진할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 CEO는 “AI DC 사업에서 기존의 역할을 확대해, 설계·구축·운영 등 AI DC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30일 취임한 정 CEO는 이날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첫 대외 일정으로 서밋 연단에 선 그는 “AI 대전환의 한가운데서 국가를 대표하는 AI 기업의 CEO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 “오늘 발표한 전략을 기반으로 AI 강국 도약에 기여하는 국가대표 AI 사업자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