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 2025-10-24 16:11:00
서부산권 복합산단 위치도. 부산일보DB
가락IC 출퇴근 시간 무료화에 이어,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강동동 일대 대규모 GB(개발제한구역) 해제가 정부 심의를 통과하는 등 강서 일대의 묵은 과제들이 잇따라 해결되고 있다. 강서구를 지역구로 둔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의 물밑 역할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앞서 시는 전날인 23일 국토교통부 소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개발사업 대상지인 부산 강서구 강동동 일대 약 130만㎡(40만 평) 규모의 GB가 해제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서부산권 복합산업단지 개발사업은 총사업비 9853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8년까지 부산 강서구 강동동 일원에 약 139만㎡(42만 평)의 규모로 대형 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다. 산단에는 산업환경 변화에 맞춰 바이오·신소재, 메카트로닉스(전기·전자), 물류 등 고부가가치 업종을 유치, 이를 통해 부산의 산업 생태계를 다양화하면서 양질의 일자리를 만든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시는 이 사업이 완료되면 제2에코델타시티와 동북아물류플랫폼(트라이포트 복합물류지구) 등 강서구 일대 개발사업과 연계해 지역경제의 또 다른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GB 해제가 관건이었다. 실제 사업부지 약 42만평(1,385,526㎡) 중 93%에 달하는 약 40만평(1,298,597㎡)이 GB로 오랜 시간 묶여 있었다. 그러나 기후대응에 따른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지난 2월 제2에코델타시티 조성(GB 면적 약 283만평), 트라이포트 복합물류지구 개발사업(GB 면적 약 70만평)이 GB 해제 지역전략사업으로 선정되면서 부산에 추가적인 대규모 GB 해제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실제 지난 6월 해당 사업에 대한 국토부 중도위 심의가 있었으나 한 차례 보류되기도 했다.
국민의힘 김도읍 의원. 부산일보DB
시가 이런 정부 내 부정적 기류를 뚫는 데에 당 정책위의장으로서 김 의원의 막후 조력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회 국토교통위원이기도 한 김 의원은 국토부를 비롯해 정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이 사업이 부산의 미래 먹거리 조성을 위한 중차대한 사업이라는 점을 지속적으로 설명, 설득해 3개월여 만에 중도위 재심의에서 반전을 이뤄냈다. 김 의원은 “이번 사업은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중차대한 사업”이라며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