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차 전기본 확정’…신규 원전 2기·SMR 1기 부지 '연내 윤곽'  

한수원, 내주 부지 공모…내년 9월 확정
기장·영덕·삼척 신규원전 후보지 거론
부산·대구·경주·창원 등 'SMR 관심'
유치 지역에 3000억원 안팎 지원금
종합평가에 주민수용성 확보 '관건'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2025-02-23 13:39:13

경북 울진군 한수원 한울원자력본부의 신한울 3·4호기 건설 부지. 한수원은 터닦기 공사를 마치고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상태다. 한수원 제공 경북 울진군 한수원 한울원자력본부의 신한울 3·4호기 건설 부지. 한수원은 터닦기 공사를 마치고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 상태다. 한수원 제공

인공지능(AI) 산업의 급성장, 데이터센터 건설 붐 등으로 날로 폭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량 확충 등 방안을 담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확정되면서 정부가 신규 원전 2기 등 건설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10년 만에 다시 원전 건설이 추진되지만, ‘위험한 발전원’이라는 인식이 강하고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 등 과제도 뒤따라 추진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야 하는 것은 숙제로 꼽힌다.

23일 원전업계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2024∼2038년 적용되는 ‘11차 전기본’이 지난 21일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정책심의회에서 확정된 것을 계기로 이번 주 중 신규 대형 원전 2기와 소형모듈원자로(SMR·발전 용량 30만 kW급) 1기 건설을 위한 부지 선정 절차 등을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이다.

정부는 11차 전기본에 총 2.8GW(기가와트) 설비 용량의 원전 2기를 오는 2037∼2038년까지 도입하고, 2035∼2036년에는 '차세대 미니 원전'인 SMR을 0.7GW 규모로 처음 도입하는 계획을 담았다. 지난 10년간 전기본에서 원전 계획은 빠졌으나 국내에서도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 폭증, 안정적 전원 확보 필요성 확대 등 산업 환경이 변화하자 도입이 다시 추진됐다.

한수원은 올해 상반기 신규원전 부지 선정을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을 거쳐 올 하반기 부지 선정 유치 공모에 나설 예정이다. 올해 연말까지는 부지 선정 결과를 공고한다는 계획이다. 한수원이 부지를 선정하면 산업부가 예정구역 지정 고시를 통해 부지를 최종 확정한다.

한수원 측은 "내년 9월이면 산업부의 예정구역 지정 고시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다만, 추진 과정에서 이 일정이 다소 늦춰지거나 당겨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신규원전 문제는 특성상 주민 수용성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 신청을 받아 추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신규원전 후보지로는 기장(부산)·영덕(경북)·삼척(강원) 등이 거론된다. 부산 기장군은 고리원전 운영 경험이 주민 수용성 등에서 다소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와이오밍주(州)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미국 와이오밍주(州)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또한 한국형 3세대 대형 원전 모델인 APR1400에 비해 출력이 4분의 1 수준으로 부지 선정이 비교적 용이할 것으로 보이는 SMR에는 부산·대구·경주(경북)·창원(경남) 등이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는 신공항이 들어서는 가덕도의 에너지 자립을 위해 SMR 도입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신공항 인근에 조성 중인 군위 첨단산업단지에 SMR을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경주시도 SMR 관련 연구 수행을 위한 국가산업단지를 2030년까지 조성하기로 했다.

원전 유치를 희망하는 지자체는 신청서와 함께 해당 지방의회의 동의서를 첨부해야 하며, 자체 판단에 따라 주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부지선정위원회는 한수원의 기초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환경성, 건설 용이성, 주민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추천 지역을 결정한다. 아직 국내 건설 사례가 없는 SMR 부지 결정 역시 신규원전과 비슷한 절차가 도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 유치가 확정된 지자체에는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법에 따라 특별지원사업비가 지급된다. 지원금과 가산금이 각각 건설비의 1.5%, 0.5% 수준으로 책정되는 데, 이번 사업의 경우 총 2000억∼3000억 원 규모의 지원사업비가 지급될 것으로 원전 업계는 예상했다.

한수원은 "신규 원전 부지 확보와 관련해 우선 검토 대상으로 고려하는 지역은 없다"며 "안전성, 환경성, 수용성 등을 종합 고려해 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