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 2025-05-22 17:59:33
사상스마트시티 예정지 내 기업들이 신규 투자나 사업 확장 절차가 까다로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영세업체들 이탈도 이어지며 공단 슬럼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는 22일 낮 12시 사상스마트시티 조성 사업의 추진 경과를 점검하고, 사상공단 입주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기 위한 ‘사상스마트시티 기업애로 대응 관계기관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상공단은 1960년대 공업지역으로 지정돼 신발, 기계장비 등 부산의 최대 공업지역으로 성장했으나, 전통 주력산업의 쇠퇴와 기반시설 노후화로 공업지역 재생이 절실히 필요한 대표적인 지역이다. 이에 2009년 국토교통부의 노후산단 재생사업지로 선정돼 사상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 중이다.
간담회는 부산상의 정현민 상근부회장 주재로 (주)강림정공 대표이자 사상기업발전협의회장인 김한집 회장을 비롯한 사상공단 입주 기업인 10명과 부산시, 부산경제진흥원 관계자 등 총 2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는 사상공단이 산업단지로 지정된 이후 증가한 규제들로 인해 기업들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대표적으로 업종 제한, 재생사업 지구 지정 이후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영세업체의 이탈 가속화와 이로 인한 공단 슬럼화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부산스텐(주) 김진호 대표는 “사상스마트시티는 노후 공업지역을 첨단산업단지로 재개발하는 게 목적이라 업종 제한이 있다”며 “사상공단에는 철강, 고무 등 소위 뿌리산업이 많은데 이런 업종들은 공장을 확장할 수도 새로 진입할 수도 없어 한 번 나간 자리가 그냥 비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부동산가격 상승도 공동화를 부추기고 있다. 서부산청사 등 사상스마트시티 내 청사진이 나오며 3.3㎡당 낮게는 1000만 원, 비싸게는 2000만 원까지 공장 매매 호가가 형성돼 있다. 이 때문에 공장을 매입해 들어오려는 기업을 찾기가 어려워 지역 슬럼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오랜 사업 기간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사상기업발전협의회 스마트시티위원장을 맡고 있는 부리전기로공업사 이용석 대표는 “사상스마트시티는 2009년부터 시작해 마무리 완공 목표가 2030년이다”며 “긴 기간 제약이 많아지다 보니 영세한 업체들이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 사상스마트시티의 사업 추진이 장기간으로 진행되는 점을 감안해 공단 내 전통 제조업 보호와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 등 다각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김 회장은 “사상지역 공단은 국가에서 지정된 일반 산업단지가 아니라 자연 발전형으로 신발과 관련 부자재 등이 발달해 다른 지역에 비해 지원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며 “기존에 있던 기업들의 보호를 위한 지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 상근부회장은 “사상스마트시티는 첨단산업단지로 재개발이 완료되면 지역 산업을 선도하는 혁신 성장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재 기업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결하고, 사업이 조속히 마무리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