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 2025-05-22 18:20:29
6년 넘게 방치된 부산 남구 용호부두가 마리나와 해양관광시설을 갖춘 복합해양거점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부산항만공사(BPA)는 최대 1000억 원대 규모의 재개발을 염두에 두고 용역을 진행 중인데 항만 기능 일부를 유지하면서 상업시설과 친수공간을 함께 조성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22일 BPA 등에 따르면 지난달 BPA는 부산시, 남구청 등 관계 기관과 함께 ‘용호부두 재개발 관련 협의회’를 열고 구체적인 개발 방향을 논의했다.
협의회는 BPA가 지난해 9월 착수한 용호부두 일대 3만 9857㎡(약 1만 2100평) 재개발 용역 과정에서 열렸다. 용역 기한은 1년으로, 올해 9월까지 결과가 도출될 예정이다. 구체적인 재개발 계획이 나오면, BPA는 이를 해수부에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1990년 조성된 용호부두는 2019년 2월 러시아 화물선 씨그랜드호 광안대교 충돌 사고 이후 안전 문제로 항만 운영이 중단됐다. 대규모 주거지와 인접해 있고 광안리해수욕장, 이기대공원 등과 가까워 해양관광 최적지로 꼽히지만, 현재는 일부 구간만 시민 산책로 등 친수공간으로 활용 중이다.
용역의 핵심은 기존 항만 기능을 일부 유지하면서, 마리나, 해양레저시설, 상업·관광시설, 친수공간 등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복합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PA는 현재 ‘마리나’ 조성과 ‘해양레저시설’ 두 가지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개발 방향을 검토 중이다.
‘마리나’ 중심 모델은 BPA가 약 50선석 규모의 마리나를 조성하고 숙박·식음료 시설을 유치한 뒤, 이를 임대하거나 직접 운영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총 사업비는 약 1038억 원, 경제성 지표인 PI(사업수익성 지수)는 1.01로 예상된다. 사업비 조달을 위해 용호부두 내 상업용지 일부를 민간에 매각한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해양레저시설’에 초점을 맞추는 개발안도 검토 중이다. 마리나 시설은 제외됐지만, BPA가 체험형 해양레저시설을 직접 운영하며 공공 기능을 강화하는 내용이 골자다. 총 사업비는 약 562억 원 규모로, PI는 1.08로 수익성 측면에서 첫 번째 안보다 소폭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 안 역시 복합용지 일부를 민간에 분양해 재원을 확보하는 구조다.
용호부두 재개발 소식이 알려지면서 남구청과 인근 주민들도 용호부두의 해양관광 기능 강화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남구청 관광체육과 관계자는 “부두가 장기간 방치되면서 미관이나 활용성 측면에서 아쉬움이 컸다”며 “용호부두를 마리나항만으로 공식 지정하고, 해양레저시설, 식음료, 숙박시설까지 유치한다면 주민 생활환경 개선과 지역 상권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BPA는 다양한 개발 구상안을 바탕으로 사업성과 공공성의 균형, 지역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종 개발 방향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BPA 재생계획실 관계자는 “용호부두 개발은 공공성 확보가 중요한 만큼, 단순히 부지를 민간에 매각해 버리고 끝내는 방식은 지양하겠다”며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친수공간과 해양관광, 레저·교육·체험시설 등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개발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