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청와대 이전 작업 분주…'왕복'에 1300억 혈세 투입

대통령실 청와대 이전 작업 분주
12월부터 차례대로 시설 이전
대통령 관저 이전은 내년 상반기 전망
청와대→용산→청와대 왕복에 혈세 1300억 원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2025-11-26 16:22:12

대통령 집무실이 연내 청와대로 복귀할 예정인 가운데 2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연합뉴스 대통령 집무실이 연내 청와대로 복귀할 예정인 가운데 23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연내 ‘청와대 복귀’ 준비 작업에 분주하다. 이르면 다음 달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시설 이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정권이 세운 이른바 ‘용산 대통령실 시대’가 막을 내리는 셈이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현재 용산 대통령실에서 청와대 복귀에 소요되는 예산은 259억 원 규모의 예비비로 편성됐다. 정부는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일찌감치 청와대 복귀 계획을 수립하고 이같은 예비비 안건을 상정, 의결한 바 있다. 여기에 더해 경호 시설 건립과 집무실 공사 등에 따른 예산이 수십억 원 이상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이 청와대로 옮겨감에 따라 국방부가 다시 용산으로 원상복귀 하는 데 필요한 예산도 필요하다. 여기엔 네트워크 구축 133억 원, 시설 보수 65억 원, 화물 이사비 40억 원 등 총 238억 원이 책정됐다. 두 예산을 합치면 용산 대통령실에서 청와대로 옮겨가는 데 필요한 비용만 500억 원 가까이 드는 셈이다. 윤석열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용산 대통령실로 이전하는 데 사용된 비용은 총 832억 1600만 원이었다. 대통령 집무실 ‘왕복 이전’에만 혈세 1300억 원이 투입되는 것이다.

대통령실은 연내 이전을 목표로 청와대 복귀 작업을 준비했지만, 완전한 이전은 올해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우선 춘추관 등 일부 시설이 다음 달 청와대로 옮겨갈 전망이다. 관저는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이전을 준비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차질 없는 청와대 이전에 집중하고 있다”며 “전체 이전 시기는 미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7박 10일간의 중동·아프리카 순방을 마친 이재명 대통령이 이날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끝으로 올해 다자 정상외교 일정이 막을 내리면서 이 대통령은 당분간 규제 혁신과 물가 안정, 검찰·사법 개혁 등 국내 문제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생활 물가와 환율 상승에 따른 민생 경제 안정화 방안 마련이 가장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이외에 튀르키예 차기 원전 건설, 이집트 카이로 공항 확장 등 정상회담에서 거론된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를 한국의 국익으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도 필요하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