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 | 2025-04-21 18:47:45
10년 뒤, 부산 인구는 300만 명 아래로 내려앉는다. 같은 시기 학령인구도 사상 처음으로 10만 명대로 추락할 전망이다. 아이들은 사라지고, 빈집은 늘고, 기업은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하는 도시. 수도권 일극 체제에서 인구 감소는 부산에 더욱 가혹한 미래를 예고한다. 인구 절벽이 지역 소멸을 넘어 국가 경쟁력의 위기로 번지는 가운데, 지역의 생존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포럼이 부산에서 열려 국내 인구·교육·도시 분야 전문가들과 기업인들이 머리를 맞대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 부산일보사는 21일 오후 2시 부산 해운대구 웨스틴조선 부산 그랜드볼룸에서 ‘2025 부산인구 미래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포럼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안성민 부산시의회 의장, 김석준 부산시교육감, 백종헌(금정)·김미애(해운대을) 국회의원,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 신창호 부산도시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인구 절벽을 앞에 두고 전문가들은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도시 미래상을 제시하고 나섰다. 기조 강연에 나선 마강래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는 “시민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도시가 돼야 소멸을 피할 수 있다”며 “청년들은 현재의 삶보다, 자아실현과 미래 가능성을 보고 도시를 선택한다”고 설명했다. 수도권으로 향하는 청년들은 단순히 일자리만을 좇는 것이 아니라, 관계와 기회의 밀도를 따라 움직인다는 게 마 교수의 진단이다. 그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공간 정책은 초광역권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밀도와 다양성, 네트워크를 갖춘 공간이 시민들의 자아실현과 일자리 창출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수도권 일극 체제 등 구조적 문제를 짚으며 국가적 차원의 과감한 대응을 촉구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020년 이후 수도권 인구 증가의 78%가 지역 청년 유출에서 비롯됐다”며 “남부권에 수도권에 버금가는 핵심 거점을 조성해 청년이 머물 수 있어야, 인구 문제의 구조적 해결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지역 산업 수요에 맞춘 특성화고 개편과 공교육 정상화를 통해, 부산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지역에서 성장하고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영신 부산일보 대표이사 사장은 “지금의 사회 인프라와 시스템이 양육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 인구 문제의 본질이다. 수십 년간 구조화된 저출산을 바로잡는 일은 쉽지 않지만, 지금부터 준비해야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고 미래 세대에 물려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