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 2025-04-27 18:42:37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27일 최종 수도권 순회 경선에서도 압도적 승리를 거두면서 당 대선후보로 확정됐다. 3년 전 대선에 이어 재차 민주당 후보로서 대권 재도전에 나선 것이다. 이 후보는 ‘12·3 비상계엄’으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부상한 이후 여야 대권주자 중 압도적 1위를 줄곧 지켜오면서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이라는 조어를 만들어냈지만, 40일도 채 남지 않은 이 후보의 대권가도는 말처럼 순탄해 보이진 않는다. 40% 초반의 지지율 벽을 쉽게 넘어서지 못하는 비호감의 벽, 그리고 사법리스크가 여전한 지뢰로 남아있다. 이 후보의 강점(Strength)과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와 위협(Threat) 요인을 들여다보는 ‘SWOT’ 분석으로 이 후보의 확장성을 점검한다.
■강점(S)
이 후보의 대표 강점으로는 강한 실행력과 기초·광역단체장으로 쌓아온 행정력이 꼽힌다. 성남시장과 경기지사 시절 밀어붙인 ‘이재명표 정책’들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으로 갈리지만, ‘이재명은 한다’는 말처럼 그의 강한 실행력을 상징하는 이미지가 고착되면서 그를 강력한 대선주자 반열에 올려놓는 기틀이 됐다.
성남시장 시절, 이 후보는 무상공공산후조리원, 무상교복, 청년 배당까지 ‘이재명표 3대 무상 시리즈 브랜드’ 정책을 잇달아 밀어붙였다. 코로나19 초기, 전국 최초로 도입한 재난기본소득 지급 정책은 이재명표 정책으로 전국에 각인되기도 했다. 정책 발표 때마다 ‘포퓰리즘’ 비판에 맞닥뜨렸지만 결과적으로 여론 반향을 일으켰고, 타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복지정책에 반영됐다.
이 후보의 굳건한 당심과 팬심도 막강한 국정 운영 동력으로 꼽힌다. 공천 과정에서 비명·친명계로 나뉘며 ‘비명횡사’ 논란 등 분란이 거듭됐지만 결과적으로 민주당을 자신의 ‘일극체제’로 만드는 데 성공하면서 정치력과 장악력을 드러냈다. 지난 대선 당시 SNS를 중심으로 결집한 강력한 팬덤도 그가 강성 야권 주자로 발돋움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다. 주로 2030 여성들로 소위 ‘개딸’(개혁의 딸)로 대표되는 이 후보 팬덤은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의 ‘박사모’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노사모’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응집력과 충성심으로 당내 ‘반이재명’ 목소리를 압살할 지경이다.
■약점(W)
이 후보의 대표 강점으로 꼽히는 전투력은 동전의 양면으로 작용한다. 경기지사 선거와 2022년 대선, 국회의원 선거 등을 치르면서 이 대표에게는 검증과 네거티브 공세가 쏟아졌다. 그 과정에서 그의 가정사, 사생활 등 다수 약점이 언론에 노출되며 대중들의 비호감이 커졌다.
특히 이 후보의 거침없는 발언들이 자주 도마 위에 오르며 거친 ‘싸움닭’ 이미지가 각인됐다. ‘형수 욕설’ 논란 등 각종 사생활 의혹이 대표적이다. 이 대표는 형수 욕설에 대해 인정하고 후회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미 높아진 비호감도 벽을 허물기엔 역부족이었다.
실제로 여러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 독주 체제가 뚜렷한 만큼 비호감도도 높아 일부를 제외하고 아직 대다수 여론조사에서 40%대 ‘박스권’을 넘지 못하고 있다. 범민주 외 지지층에서 나타나는 높은 비호감도가 이 후보에게 선거 내내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평이다.
사법리스크 역시 여전한 불안 요소다. 이 후보는 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을 포함해 모두 8개 사건으로 기소돼 5개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대부분의 재판은 이 후보의 적극적인 지연 전략으로 인해 대선 전 결론이 날 가능성은 희박한 상황이다. 그러나 유력 대선 후보가 중범죄를 포함해 여러 의혹 사건들로 재판이 진행 중이라는 사실은 대선 기간 내내 공격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회(O)
정치권에서는 이 후보의 이번 대권가도를 두고 “천운이 따른다”는 평이 잇따른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임기를 마쳤다면, 이 후보가 2027년까지 숱한 정치적 변수와 사법리스크를 극복할 수 있었겠냐는 데서 나오는 이야기다.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잇따른 탄핵 사태가 민주당에서 가장 유력한 대선 후보 이 후보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2022년 대선 패배에도 지역구 국회의원 출마와 당 대표 도전이라는 이례적 행보로 당을 장악한 이 후보지만, 지난해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1심에서 비선거권 박탈형을 받으면서 대권가도에는 뚜렷한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었다. 그러나 윤 전 대통령의 예상치 못한 비상계엄이 실패하고, 탄핵 국면이 펼쳐지면서 민주당 당 대표를 맡고 있던 이 후보를 중심으로 범야권이 결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조성됐다.
반면 이 후보를 견제해야 할 국민의힘은 탄핵 이후에도 윤 전 대통령과 비엄계엄을 옹호하는 친윤(친윤석열)계 일부 의원들과 일부 반대 세력이 부딪치고 있고, 당내 분열상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일부 강성 의원들이 계엄의 정당성에 집착하는 윤 전 대통령과 ‘결별’하지 못하면서 계엄에 반대하는 중도층으로부터 외면받고 있는 상황도 이 대표에게는 호재라는 평이다. 이 후보도 최근 중도보수층 확장을 목적으로 ‘우클릭’ 행보를 이어 나가고 있다. 계엄과 탄핵, 국민의힘 내부 분열로 떨어져 나온 중도보수층과 무당층을 끌어안겠다는 계산이다.
■위협(T)
탄탄대로인 듯한 이 후보의 두 번째 대권 도전이지만, 위협 요인은 있다. 일단 사법리스크는 여전한 악재다. 최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라는 반전 결과를 얻으면서 리스크를 다소 덜었지만, 최근 대법원이 상고심에 속도를 내면서 대선 전에 결론이 날 가능성이 아직 남아있다. 대법원에서 ‘파기 환송’이라는 결론이 날 경우, 이 후보의 자격을 둘러싼 혼란과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자제하고 있지만 여전히 불안을 안고 있는 이 후보 특유의 거친 언행도 ‘이재명 포비아’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나 돌출적인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를 겪었던 국민들은 돌출적인 권력 행사에 대해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보복하지 않겠다”고 보복정치 등에 대한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긴 했지만 “권력 행사는 잔인하게 해야 한다”는 발언 등을 과거 서슴지 않게 했던 만큼 ‘이재명의 입’에 이목이 쏠린다. 한 번의 언행 실수가 중도층을 등 돌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이 후보의 지난 대선 패배 원인 중 하나도 중도층에서 우위 확보에 실패했다는 점이었다.
비명계 주자들의 반발에도 이 후보에 유리한 경선룰 변경을 적용하는 등 조율 없이 이 후보 독주체제를 강행했던 이번 경선에서 봉합되지 않은 비명-친명 간 갈등도 변수다. 이번 원사이드 경선으로 선출 이후 비명계와의 화학적 결합은 더욱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