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 | 2025-05-25 19:58:00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6·3 대선’에서 주요 정당이 사회구조의 개혁을 외치면서 국민의 선택을 구하려면 국가균형발전과 해양수도의 핵심 인프라인 가덕신공항의 적기 개항을 대선 공약으로 공식 채택하라는 부산 지역 사회의 목소리가 높다.
25일 부산시 등에 따르면 정부는 2023년 12월 가덕도신공항 기본계획 고시에서 명시한 2029년 12월 개항 목표와 공사 기간 7년이라는 약속을 지키지 못할 위기다. 부지 조성 공사를 맡기로 한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입찰 조건과 다른 공사 기간을 제출하면서 수의계약 절차가 중단됐고, 국토교통부가 한 달 가까이 현대건설에 대한 부적격 처분과 다음 입찰 일정을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선거관리위원회가 게시한 제21대 대선 후보자 공약을 보면 새로운 정부를 맡겨 달라며 나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공약 어디에도 가덕신공항은 언급조차 되지 않는다. 정당별 공식 공약집도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동남권 관문공항인 가덕신공항은 2021년 여야가 발의한 가덕도신공항 건설 특별법 의결로 불가역적인 궤도에 오른 국책사업이다. 정부의 당초 발표에 따르면 다음 달 우선시공분 공사를 시작해 활주로와 터미널 등을 완성해 2029년 12월 개항하고, 나머지 시설을 완공해 2032년 준공할 예정이었다.
부산경실련 도한영 사무처장은 “현재까지 공개된 주요 정당 공약을 보면 지역균형발전과 부산 발전을 말하면서 정작 지금 부산에서 가장 큰 현안인 가덕신공항 개항 차질 문제에 대해 누구도 공약에 명확한 입장이나 구체적인 추진 계획을 담고 있지 않았다”며 “어느 후보가 동남권의 염원과 수도권 집중 완화의 의지를 담아 가덕신공항의 적기 개항을 공약하는지 지켜보고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상공계도 최근 민주당, 국민의힘 선대위와 잇따라 정책 간담회를 갖고 가덕신공항의 적기 개항을 대선 공약으로 채택해 달라고 요구했다. 수도권 일극화와 대내외 여건 악화에 리더십 공백까지 겹치면서 지역 경제의 어려움이 임계점을 넘어섰다는 위기감이 배경이다. 부산상공회의소 양재생 회장은 “예기치 못한 조기 대선 정국으로 가덕신공항 건설을 비롯해 그동안 추진해 왔던 많은 지역 현안들이 혼선을 빚고 있는데, 기존 현안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가덕신공항 적기 개항을 대선 공약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부산 시민들은 국책사업의 약속을 모른체하는 정치권에 분통을 터뜨린다.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이지후 상임대표는 “여야가 모두 합의해서 특별법을 만들고 2029년 개항을 약속해 놓고, 이제 와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정치 셈법으로 서로 책임을 미루는 걸 보면서 시민들은 속이 타들어간다”면서 “대선후보들은 지금이라도 국민 앞에 차기 정부의 의지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