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시내버스 노사 임단협 ‘막판 협상’ 돌입

부산 노사, 26·27일 조정회의
합의 결렬 땐 28일 총파업 방침
시, 도시철도 증편 등 대책 마련
울산·창원도 여전히 ‘협상 난항’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2025-05-25 18:21:46

5일 경남 창원시내 차고지에 시내버스가 주차된 모습. 창원시 제공 5일 경남 창원시내 차고지에 시내버스가 주차된 모습. 창원시 제공

부울경 시내버스 노사가 올해 임금인상률과 통상임금 등 문제를 놓고 임금·단체협상(임단협)에서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오는 27일까지 막판 협상에 돌입한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부울경을 포함한 전국 버스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하고 나서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25일 부산시와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따르면, 부산버스운송사업조합과 부산버스노동조합은 26일과 협상 마감 기일인 27일까지 두 차례 추가 조정회의를 열고 최종 막판 협상에 나선다. 앞서 노조는 지난 12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관련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하고 20일 사측인 버스조합과 1차 조정회의를 가졌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마무리됐다.

부산 버스노조는 △기본급 8.2% 인상 △정년 63세→65세로 연장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사측은 재정적 부담을 호소해 노사 간 입장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특히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봐야 한다’는 지난해 12월 대법원 판결 이후, 이를 임금에 어떻게 반영할지를 두고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노조는 판결을 근거로 올해부터 당장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반영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합은 전·현직 버스기사 약 7000명에게 최소 2400억 원 이상을 지급해야 한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부산 버스노조는 협상 마감 시한인 27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28일 첫 차부터 전국 동시 총파업에 돌입하겠다는 방침이다. 울산과 경남을 포함한 전국 버스노조들도 임금 인상과 정년연장, 상여금 통상임금 반영 등 같은 요구를 내걸고 있어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전국적인 교통 혼란이 예상된다.

총파업이 실제로 이뤄지면 2012년 이후 13년 만으로, 부산 지역 약 2300대를 포함해 부울경 최소 3671대, 전국 약 4만 4000대에 달하는 시내·시외·고속버스 운행이 중단될 수 있다.

부산시는 전세버스를 활용한 셔틀버스 운행과 도시철도 증편, 택시 운행 확대, 승용차요일제와 버스전용차로 해제 등을 중심으로 비상수송대책을 마련 중이다.

버스가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인 울산의 경우 타격이 클 전망이다.

울산 시내버스 노사는 지난 3월 5일부터 임급협상에 들어갔지만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울산은 광역시 중에서도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어 버스노조의 파업이 현실화하면 시민들의 불편이 클 것으로 시는 예상하고 있다.

울산시는 버스 운행 중단 시 문자와 TV 방송을 통해 즉시 상황을 전파하고 승용차 요일제 해제, 공용주차장과 공공기관 부설주차장 개방, 법인과 개인택시 운행 확대 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창원 시내버스 9개사 노사도 올해 임단협 교섭이 결렬되면서 파업 전운이 감돌고 있다. 노조는 이달 12일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했다. 이어 지난 22일 1차 조정회의를 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협상이 난항을 겪자 노조는 지난 23일 전체 조합원 1621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시행했다. 투표 결과 1455명이 참여해 이 중 1387명이 찬성(전체 조합원 중 85.6%)하면서 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