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 권승혁 기자 gsh0905@busan.com , 강대한 기자 kdh@busan.com | 2025-05-27 16:26:17
부울경 시내버스 노사가 올해 임금·단체협상 최종 협상에 돌입했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총파업에 따른 대규모 교통대란이 불가피하지만, 막판 극적 타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27일 부산시와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부산버스운송사업조합과 부산버스노동조합이 임단협 최종 조정 회의에 들어갔다. 앞서 노조는 지난 12일 조정을 신청한 뒤 20일과 26일 사측과 조정회의를 얼었지만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부산 버스노조는 기본급 8.2% 인상과 현행 63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것을 핵심 요구 사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앞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도 주요 요구안으로 제시했지만, 최종 협상을 앞두고 현재 진행 중인 관련 소송 결과를 따르겠다며 한 발 물러섰다. 대신 올해 임금 인상에 집중하자며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노사 간 입장 차가 여전해 교섭은 난항이 예상된다.
노조 측은 협상이 결렬될 경우 28일 첫 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26일 실시한 파업 찬반 투표에서는 전체 조합원 6404명 중 5370명(84%)이 파업에 찬성했다.
울산과 경남을 포함한 전국 버스노조들도 임금인상과 정년연장 등 같은 요구를 내걸고 있어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전국적인 교통 혼란이 예상된다.
총파업이 실제로 이뤄지면 2012년 이후 13년 만으로, 부산 시내버스 147개 노선 약 2300대를 포함해 부울경 최소 3671대, 전국 약 4만 4000대에 달하는 시내·시외·고속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될 수 있다.
부울경 각 지자체는 노사협상 추이에 따라 비상수송대책을 탄력적으로 적용해 교통 차질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협상 결렬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가동하고, 교통대책 마련에 나섰다. △임시 전세버스 200대 투입 △도시철도·경전철 증편 △택시 집중 운행 △승용차 요일제 해제 등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울산과 창원의 경우 지하철이나 경전철이 없어 시내버스가 사실상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출퇴근 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울산시는 이를 대비해 기업체와 학교에 출퇴근·등하교 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정하도록 협조를 구하는 등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다. 창원시는 파업에 대비해 40개 노선에 전세버스 170대와 관용버스 10대를 투입해 무료로 운행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시내 주요 구간과 읍·면 등 외곽지에도 택시 330대를 집중 지원한다.
부산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마지막까지 협상이 타결될 수 있도록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가겠다”며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 역시 최소화하도록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