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 2025-07-27 19:30:00
러시아와의 협력 아래 현재 사실상 북극항로를 거의 독점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중국, 이를 계속 방치하면 향후 북극항로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 기회를 잃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지난 25일 국회에서 문대림(더불어민주당, 제주갑) 의원실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개최한 ‘북극항로 개척 방안 및 선결과제 점검 토론회’에서 북극항로 물류를 2010년부터 연구해온 홍성원 영산대 북극물류연구소장이 밝힌 주장이다.
홍 소장에 따르면 중국 국영선사 COSCO도 56회나 운항 경험이 있고, 2023년부터는 중국 뉴뉴쉬핑이 북극항로를 독점적으로 운항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2016년 시범 운항 이후로는 맥이 끊긴 상태다.
표면적으로는 미국의 대러 제재에 동참하는 일본도 미쓰이그룹과 종합상사 마루베니 등이 북극 야말 LNG2 개발 사업에 30억 달러를 투자해 자국 선사 MOL이 LNG 정기 운송에 참여하고 있으며, 북극항로에 관련한 산학관연계협의회 등의 조직도 이미 가동 중이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서방 제재로 북극항로 인프라 개발이 난관에 봉착하자 러시아는 중국과의 협력 강도를 더 높일 수밖에 없게 됐다. 러시아 국영 원자력회사 로사톰과 중국 뉴뉴쉬핑은 지난해 조인트벤처를 설립했고, 양국 간 북극항로협력 소위원회도 지난해부터 가동되고 있다. 4400TEU급 쇄빙 컨테이너선 5척 건조에도 양국은 협력하고 있다.
홍 소장은 “부산항 환적 서비스, 쇄빙선 건조, 북극항로 컨테이너 정기 운송 등의 기회를 중국 등 경쟁국에 빼앗기지 않으려면 러시아와의 협력 관계 복원이 급선무”라며 “러시아 정부의 북극항로 정책 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정부가 공공재 확보 차원에서 주도적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발제에서 해진공 김정균 사업기획팀장은 가칭 ‘북극항로개척기금’ 조성과 ‘북극항로운항지원센터’ 설립을 검토안으로 제시했다. 기금으로 시범 운항 비용을 지원하고, 거점 인프라 투자, 쇄빙·내빙선 도입을 지원하고, 운항지원센터는 시범 운항 데이터를 축적해 분석하고 각 선사에 항행 안전 정보 제공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북극항로개척기금에 대해 김 팀장은 “일반 상업적 금융 지원 방식과는 차별화된 정책적 목적의 지원 조건과 별도의 한도 체계를 운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운선사 관계자들은 세밀한 준비를 주문했다. 폴라리스쉬핑 이명호 신사업1팀장은 북극항로 진출이 녹록하지 않다는 점을 전제하고 선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극지 항해 전문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 △북극 해운 데이터 센터 설립 운영 △내빙 선박 확보 지원 및 실질적 운항 경험 축적 △정책 일관성으로 비즈니스 안전성 담보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팬오션 이명욱 프로젝트영업팀장은 2016년 선라이즈호 운항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 수에즈운하 경유 남방항로와 북극항로 운항 비용을 비교했을 때 북극항로가 회당 100만 달러 이상 절감효과가 있었다고 소개했다. 연료비도 줄어들지만 수에즈운하 통항료(55만 달러)에 비해 쇄빙선 이용료(25만 달러)가 절반 이하로 저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