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25일 전망… 세부 일정 조율

‘동맹 현대화’ 핵심 의제 부상
통상 이슈 마무리 등도 과제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2025-08-07 16:42:21

강유정 대변인이 6일 용산 대통령실 기자회견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지시사항 브리핑 후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강유정 대변인이 6일 용산 대통령실 기자회견장에서 이재명 대통령 지시사항 브리핑 후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오는 25일 열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7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24일 미국을 방문해 25일 트럼프 대통령과 미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하기로 하고 세부 일정을 최종 조율 중이다.

다만 공식 일정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이날 대통령실은 “한미 양국은 조속한 정상회담 개최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토대로 일정 등 세부사항에 대한 긴밀한 소통을 지속 중”이라며 “한미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된 상세 사항은 최종 조율되면 미 측과 시점을 협의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담은 관세 협상의 고비를 넘긴 이 대통령이 맞이할 두 번째 큰 분기점으로 꼽힌다. 통상 이슈뿐 아니라 안보 분야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청구서’를 들고 나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회담의 핵심 의제로는 ‘한미동맹 현대화’가 떠오르고 있다.

한미동맹 현대화는 주한미군의 규모·역할 변화, 한국군의 역할 확대, 국방비 증액,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 여러 사안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미국이 동맹 현대화를 강하게 요구하는 만큼, 우리 정부도 일부 수용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실무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 문제에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미국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주한미군의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고 보고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공식 입장으로 채택하지는 않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측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되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외교라인 개편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미국·일본·중국·러시아 등 이른바 ‘4강국’ 주재 대사 인선을 조율 중으로, 이르면 휴가 직후 주말께 발표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주미대사로는 임성남 전 외교부 1차관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가운데, 조병제 전 국립외교원장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주중대사 후보로는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주일대사로는 이혁 전 주베트남 대사, 하태윤 전 오사카총영사, 김현철 서울대 일본연구소장 등이 거론된다. 이밖에 주유엔대사로는 노규덕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