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상공계, '에어부산 분리매각' 정부·산은 압박 나선다

시, TF팀 중심 대응 방안 모색
상의, 정치권과 긴밀 협조 나서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 2024-06-12 20:00:00

에어부산 A321neo 항공기. 에어부산 제공 에어부산 A321neo 항공기. 에어부산 제공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대한 지역 사회의 강력한 요구(부산일보 6월 7일 자 8면 등 보도)에 부응해 부산시와 지역 상공계가 국토교통부와 산업은행 설득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12일 시와 부산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이들은 이달 중 민·관·정 태스크포스(TF)팀을 중심으로 회의를 열고 에어부산 분리매각과 관련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시는 앞서 지난달 초 시정 현안 소통 간담회를 갖고 TF팀을 새로 꾸려 에어부산 분리매각 활동 강화에 나선 바 있다.

이들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추진 과정에서 국토부와 산업은행이 지역 거점 항공사 존치를 약속한 만큼 약속 이행을 적극 촉구하는 한편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부정적인 산은의 입장을 세부적으로 반박하겠다는 계획이다. 가덕신공항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지역 거점 항공사 필요성에 대해서도 적극 알려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부산상의는 늦어도 내달 초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간담회 자리를 별도 마련하기로 했다. 지역 정치인들이 에어부산 분리매각과 관련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두루 제공하겠다는 것. 부산상의는 지역 기업들과 긴밀하게 협조하면서 전문가 자문 등을 병행한다.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공감하는 지역 정치권도 현안 해결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는 분위기다. 시 측에 관련 세부 정보를 요청하는 한편 에어부산 분리매각이 지연 현안 해결의 후순위로 밀리지 않도록 주된 이슈로 부각시키겠다는 계획이다.

부산 지역 한 정치권 인사는 “에어부산 분리매각에 공감하면서도 세부적인 내용까지는 모를 수 있는 만큼 스터디를 통해 두루 공감대를 형성한 뒤 국회 원 구성이 끝나는대로 현안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김광회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국토부와 산은은 거대 항공사 간 기업 결합에 책임이 있는 공공기관”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시장은 “대한항공이라는 민간 기업에 에어부산 분리매각 결정권이 있다는 산은의 답에 시의 생각은 전혀 다르다”며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 매각의 사례처럼 에어부산도 얼마든지 분리매각 가능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한편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지난 11일 산은 본점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에어부산 분리매각과 관련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에 대한 해외 승인 이후 주체는 대한항공”이라는 답을 내놓으면서 지역 사회로부터 ‘책임 회피’라는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