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 사상 최대 실적에도 건전성은 ‘비상’

손보·생보사 모두 역대 실적
지급여력비율은 모두 타격
후순위채 발행 등 대응나서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2025-02-23 12:55:21

지난해 보험사들이 역대급 실적을 냈지만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지난해 보험사들이 역대급 실적을 냈지만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지난해 보험사들이 역대급 실적을 냈지만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작년 별도 기준 삼성화재·메리츠화재·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연결) 등 손해보험 5개사의 합산 당기 순이익은 7조 400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6% 증가했다. 5개사는 전년보다 9∼33% 많은 이익을 냈다.

생명보험사들도 줄줄이 역대 최대 실적을 갈아치웠다. 삼성생명은 순이익이 약 11.2% 증가한 2조 1068억 원을, 한화생명도 17% 증가한 7206억 원을 기록했다. 신한라이프는 11.9% 늘어난 5284억 원, 동양생명은 17% 증가한 3102억 원, KB라이프는 15.1% 늘어난 2694억 원을 기록했다.

반면 역대급 실적에도 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K-ICS)은 급락했다. 삼성생명의 지급여력비율은 같은 기간 약 39%포인트(P) 하락한 180%, 신한라이프는 44%P 하락한 206.8%, KB손보는 27.8%P 하락한 188.1%, KB라이프는 64.5%P 하락한 265.3%를 기록했다.

특히 현대해상은 17.4%P 하락한 155.8%, 동양생명은 38.7%P 하락한 154.7% 등으로 금융당국 권고 수준인 150%를 겨우 넘겼다. 작년 9월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이 159.77%를 기록했던 롯데손해보험의 경우 업계에서는 4분기 말 지급여력비율이 150%를 하회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롯데손보는 지난 13일 잠정 공시에서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 반영으로 작년 당기 순이익이 272억 원으로 전년 대비 91.0% 감소했다고 밝혔다.

실적 증가에도 지급여력비율이 급락한 것은 작년 금융당국의 무·저해지 보험 해지율 가이드라인이 반영된 영향이 크다. 해지율을 보수적으로 가정하면서 보험사들의 가용자본이 줄어 지급여력비율이 하락한 것이다. 시장금리 하락,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 등도 지급여력비율을 끌어내리는 요인이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 포트폴리오가 다양하지 않은 중소형사의 경우 무·저해지 보험 비중이 높아 지급여력비율에 더욱 타격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보험업계는 후순위채 발행 등 자본 확충으로 지급여력비율 하락에 대응 중이다. 연초부터 한화손보 5000억 원, 메리츠화재·DB생명 각각 3000억 원, DB손해보험 4000억 원 등의 후순위채를 발행했다. 현대해상은 최대 8000억 원, KB손해보험은 최대 5000억 원, NH손해보험은 최대 2000억 원의 후순위채 발행을 준비 중이고, 한화생명은 최대 6000억 원 신종자본증권을, 동양생명은 최대 7000억 원 규모의 자본증권 발행을 준비 중이다. 삼성생명 역시 지난 실적 발표 후 콘퍼런스 콜에서 자본성 증권 발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후순위채 등에 대해 매년 1조 원이 넘는 이자를 내는 것으로 추산된다”며 “자본 비용이 더욱 커지고 있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