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상현 기자 songsang@busan.com | 2025-05-28 16:16:21
포스코 노사가 올해 임금 및 단체협상(임단협) 본교섭에 들어갔지만, 사측이 국내 공장의 경쟁력 저하 요인 중 하나로 ‘강성노조’를 지목하면서 노조의 반발로 이어졌다. 지난해 사상 최초로 파업까지 예고되며 장기화했던 임단협이 올해도 장기화할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28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노사는 지난 22일 전남 광양 포스코홍보관에서 임단협 1·2차 본교섭을 잇따라 열었다. 이날 교섭엔 조양래 수석부위원장을 포함한 노조 교섭위원 10명과 김동희 노무협력실장을 비롯한 사측 교섭위원 10명이 참석했다.
먼저 사측은 재무실 주관으로 경영 현황 설명회를 열고 포스코의 대내외적 이슈와 국내 철강업의 침체, 전망 등을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사측은 철강사들이 해외 투자 확대와 공장 해외 이전을 검토하는 이유 중의 하나로 강성 노조 영향을 꼽았다.
이에 노조 측은 국내 기업경쟁력 저하의 원인으로 강성노조를 지목한 것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정당한 조합 활동을 폄훼할 수 있는 표현이라고 맞받아쳤다. 또한 해당 자료가 직원들의 교육자료로 활용된 것 자체가 단체협약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포스코는 장인화 회장 체제 이후 철강 사업 부문에서 해외 현지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인도 1위 철강사와 손잡고 연간 500만t 규모의 일관제철소 건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3월엔 미국 현지에 전기로 일관 제철소를 설립하는 현대제철의 프로젝트에 동참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사측은 설명회에서 인건비 부담 증가와 전기요금 인상 등에 따라 전사적 비용 절감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에 노조 측은 필요한 설비 인력에는 비용을 아끼며 포스코홀딩스 산하 타 계열사에는 대규모 투자가 집행되는 점을 비판했다. 포스코 본업인 철강 경쟁력 강화를 주장하면서도 실제 투자 배분에 있어선 철강 사업이 소외되고 있다는 것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13일 이차전지 사업을 담당하는 포스코퓨처엠 등 계열사 3곳의 유상증자에 총 9226억 원을 출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포스코 노사가 첫 교섭부터 날을 세우면서 올해 임단협 역시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포스코 노사는 지난해 6월 상견례를 시작으로 6개월간 본교섭 13회, 실무교섭 24회를 이어갔지만 기본급과 격려금 규모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노조는 창사 56년 만에 파업을 예고하는 등 노사 관계는 악화 일변도였다. 결국 파업 예고 전날인 12월 18일 기본급 10만 원 인상과 일시금 600만 원 지급 등에 간신히 합의했다.
올해 노조는 기본급 7.7% 인상과 철강 경쟁력 강화 공헌금 300%, 자사주 15주 지급, 정년 연장, 의료비 지원 제도 신설 등을 포함한 50여 건의 요구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국내외 경기침체, 중국의 저가 공세 속 철강 업황이 악화하고 있어 임금 인상 폭을 두고 노사 간 입장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홀딩스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5680억 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1.7% 감소했다. 여기에 지난 3월부터 미국으로 향하는 철강 수출 물량에는 25% 관세까지 붙은 상황이다.
노조 관계자는 협상 분위기와 관련해 “노조의 임단협 요구안 설명이 아직 끝나지 않았고 사측에서 조건을 제시한 상황도 아닌 단계”라며 “노사가 협력·상생할 때는 해야하기 때문에 무턱대고 투쟁에 나서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