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세포배아세포 연구가 황우석 논문 조작 사태 이후 7년만에 재개된다. 하지만 의학계 등 일부에서 생명 윤리와 환자 안전성 등을 이유로 반대해 당국도 연구지원 대책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차의과대학(이하 차의대)이 제출한 체세포복제배아연구계획을 조건부 승인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체세포복제배아에서 줄기세포주를 생산해 시신경 손상, 뇌졸증, 골연골 형성 이상 같은 난치병 치료 목적에 한정된다.
연구기간은 2020년 12월말까지 5년간이다.
'생명 윤리:종교계' '환자 안전성:의학계' 등 반대
체세포복제배아는 난자에서 핵을 제거한 후 체세포 핵을 이식해 만든 배아다.
이에 종교계와 의료계 일부에서는 생명윤리와 의학적 안전성을 이유로 반대해왔다.
줄기세포연구는 인간 복제 등 인간의 존엄성을 해칠수 있다는 윤리문제와 줄기세포를 이식할 경우 암세포로 변질될 수 있다는 발암성 논란을 극복해야 한다는 숙제를 떠안고 있다.
줄기세포는 기원에 따라 배아·성체·역분화 줄기세포로 나뉜다. 배아줄기세포는 연구와 개발 과정에서 여성의 난자를 사용해야한다는 윤리적인 문제로 늘 학계, 종교계 등에서 비판의 시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실제 의사출신인 국민의당 안철수 의원은 “줄기세포치료제는 유전자변형 발생 가능성과 암 유발가능성 등 문제로 인해 다른 나라에서도 신중한 접근을 하고 있다”며 “맹목적인 줄기세포 개발의지에 앞서 환자들에 대한 장기추적 관찰 등 안전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복지부 "높은 수준의 윤리적 기준 충족토록 관리할 터"
우리나라는 2008년 제정된 '생명 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희귀·난치병 치료 연구와 치료 목적에 한해 배아복제를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는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 조작 사태' 이후 생명윤리 논란을 겪으면서 2009년 이후 국내에서 해당 연구는 사실상 중단되었다.
이를 의식한 듯 복지부는 관련 연구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 분야 관련 전문가 단체인'차의대 체세포복제배아연구 관리위원회'를 구성해 연구진행과정에서 난자 사용 전에 난자이용연구동의서 등이 제대로 작성됐는지 점검한다.
또한 기관생명윤리위원회가 제대로 운영되는지 직접 참관하며, 인간복제 방지를 위해 연구에 사용된 난자 및 배아의 폐기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하도록 하고 이를 매년 현장 점검할 계획이다.
이동욱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체세포복제배아연구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 차의대 연구가 높은 수준의 윤리적 기준도 충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동훈 기자 rockrage@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