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 기대에 예금금리 내리는 은행들

신한 이어 KB도 2%대로↓
2년 7∼8개월 만에 최저 수준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3%대 예금 사라질 것”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 2025-02-24 13:34:16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시장금리가 떨어지자 5대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도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시내 설치된 ATM기기에서 시민들이 은행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시장금리가 떨어지자 5대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도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시내 설치된 ATM기기에서 시민들이 은행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기준금리 인하 기대와 함께 시장금리가 떨어지자 5대 시중은행의 예금금리도 빠르게 낮아지고 있다. 주요 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연 2%대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는데 이는 현재 연 3.00%인 기준금리보다 낮은 수준이다. 가산금리를 포함한 대출금리가 시장금리 하락 폭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는 점을 볼 때 예대금리차가 벌어져 은행의 이자 이익만 늘어날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대표 수신(예금) 상품인 ‘KB스타 정기예금’의 최고금리(만기 1년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기존 연 3.00%에서 2.95%로 낮추기로 했다.

KB국민은행 내부 시계열 기록을 보면 이 상품의 최고금리가 2%대였던 마지막 시점은 2022년 7월 10일이었다. 이후 3%대로 올라섰다가 약 2년 7개월 만에 다시 2%대로 내려왔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를 선반영해 최근 특히 1년 안팎 단기 시장금리가 하락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신한은행 역시 20일 대표 수신 상품 ‘쏠편한 정기예금’의 최고금리(1년만기 기준·우대금리 포함)를 연 3.00%에서 2.95%로 0.05%포인트(P) 인하했다. 신한은행 내부 시계열에서도 해당 상품의 2%대 최고금리는 2022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다른 은행들도 마찬가지로 ‘시장금리 반영’을 내세워 예금 금리를 내리고 있다.

SC제일은행은 지난 17일부터 네 가지 거치식예금(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50%P 낮췄고, 하나은행도 14일 하나의 정기예금·고단위플러스 정기예금 등 3개 상품의 12∼60개월 만기 기본 금리를 0.20%P씩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공시된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23일 기준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1년만기 기준)는 연 2.95∼3.30% 수준이다.

25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75%로 0.25%P 낮추면, 나머지 3개 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금리도 이르면 이번 주나 다음 주 안에 대부분 2%대로 내려올 가능성이 있다는 게 은행권의 분석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0.25%P 떨어지면 다른 은행들도 이를 명분으로 곧바로 대표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를 2%대로 내리고, 3%대 금리는 점차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한은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작년 12월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 즉 예대금리차는 1.43%P로 전월(1.41%P)보다 0.02%P 커졌다. 4개월 연속 확대로, 예금 금리 하락 폭이 대출 금리보다 크다는 뜻이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