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공약 제안 과제에 해수부 이전·행정통합 추가

주요 정당 찾아 대선 공약화 요청
서울본부 중심 공감대 조성 주력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2025-05-13 16:45:00

부산시 이준승 행정부시장이 지난달 21일 부산시청에서 제21대 대선 부산시 공약 제안과제를 발표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 이준승 행정부시장이 지난달 21일 부산시청에서 제21대 대선 부산시 공약 제안과제를 발표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제21대 대선 공약 제안 과제에 해양수산부 이전과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추가하고 공약 반영을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시는 13일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개혁신당 등 주요 정당의 부산시당 등을 이날부터 방문해 대선 공약에 부산이 제안하는 과제가 반영될 수 있도록 요청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번에 시는 당초 발표한 10대 공약 과제 중 '해사법원 부산 설립'을 '해수부 이전 등 해양 공공기관 통합 이전 및 해사법원 부산 설립'으로 확대했다. 또, 전략과제로 제시한 '광역지자체 간 협력사업 및 제도개선 국정과제화 선도'에서 부·울·경 협력사업의 '제도' 부문에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대표적인 예로 추가해 명시했다.

시는 글로벌 해양 경쟁력을 강화하고, 남부권을 실질적인 국가 성장 축으로 조성하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도록 두 안건을 공약 과제에 추가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지난달 21일 10대 핵심 공약 과제와 3대 분야 32개 사업의 제안 과제를 발표하고 이날과 다음 날 이틀에 걸쳐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개혁신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의 부산시당을 방문해 공약 과제를 전달했다.

당시 해수부 이전과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과제에 포함되지 않은 것을 두고 시민단체와 부산시의회 등에서는 시가 중대한 지역 현안에 미온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기도 했다.

시는 지난 11일 대선 후보 등록 완료 이후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이번 주가 지역 현안의 대선 공약화를 위한 골든 타임이라고 보고 주요 정당을 대상으로 공약화에 주력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서울본부를 중심으로 중앙당과 소통 채널을 가동하고, 시의 각 실·국·본부장이 직접 중앙부처를 방문해 공약 과제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공약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조성하고 있다.

이밖에 부산시 10대 핵심 공약 과제에는 균형 발전 분야에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한국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 인프라 분야에 △가덕신공항 2단계 확장과 (가칭) 가덕도신공항공사 설립 △차세대 부산형 수소 급행철도(BuTX) 구축이 포함됐다.

또 산업 분야에는 △인공지능(AI)·양자 산업융합 연구소 설립 및 AI 네거티브 규제 테스트베드화 △전력 반도체 파워시티 조성 △북부산 노포역 일원 통합 개발, 삶의 질 분야에는 △국립 영상·게임 콤플렉스 유치와 △낙동강 하구 국가 3대 녹지(금정산 국립공원,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낙동강 국가정원) 지정이 들어갔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대선은 부산의 미래를 획기적으로 앞당기고 부산 발전의 기회와 국가균형발전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지역의 핵심 의제가 후보별 대선공약에 반영되고, 향후 새 정부에 국정과제에 담기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시가 13일 일부 추가해 공개한 공약 제안 10대 과제. 지난달 21일 발표한 안에서 '해사법원 설립'이 '해수부 등 해양공공기관 통합 이전 및 해사법원 설립'으로 확대됐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은 부·울·경 협력사업 제도 부문에 구체적으로 명시됐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13일 일부 추가해 공개한 공약 제안 10대 과제. 지난달 21일 발표한 안에서 '해사법원 설립'이 '해수부 등 해양공공기관 통합 이전 및 해사법원 설립'으로 확대됐다. '부산·경남 행정통합'은 부·울·경 협력사업 제도 부문에 구체적으로 명시됐다. 부산시 제공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