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대선’ 각당 부동산 공약 엇비슷…“전면에 내세우려 하지 않는 듯”

이재명, 노후도심 재개발·재건축 지원
김문수, 9년간 주거비 지원 지원 주택
이재명 “세금 때려서 억누르지 않아야”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2025-05-14 08:53:37

‘6·3 대선’ 선거운동이 본격화했지만 이번 선거에선 주택과 부동산 공약이 핵심 이슈에서 밀려난 모습이다. 사진은 서울 용산구의 한 부동산 모습. 연합뉴스 ‘6·3 대선’ 선거운동이 본격화했지만 이번 선거에선 주택과 부동산 공약이 핵심 이슈에서 밀려난 모습이다. 사진은 서울 용산구의 한 부동산 모습. 연합뉴스

‘6·3 대선’ 선거운동이 본격화했지만 이번 선거에선 주택과 부동산 공약이 핵심 이슈에서 밀려난 모습이다.

각 후보가 제시한 10대 공약 중 부동산 공약의 무게감과 파급력이 예전만 못할뿐더러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정치적 부담 등 표심을 고려해 부동산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으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14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정책공약을 보면, 세 후보 모두 주택공급 확대를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결이 비슷한 측면이 있다. 공급 확대를 위해 재건축·재개발을 활성화하겠다는 방향성도 같다.

이재명 후보는 1기 신도시(분당·일산·산본·중동·평촌) 노후 인프라 재정비와 수원 용인 안산 인천 등 노후계획도시 재건축 지원을 약속했다.

또 서울 노후 도심의 재개발·재건축 용적률 상향과 분담금 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후보는 ‘3·3·3 청년주택 공급’을 제시했다.

결혼하면 3년, 첫 아이를 낳으면 3년, 둘째 아이 때는 3년 등으로 총 9년간 주거비를 지원하는 주택을 매년 10만가구 공급하겠다는 내용이다.

청년·신혼·육아 부부를 위한 주택을 매년 20만가구 공급하고 1인형 아파트와 오피스텔 공급도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재개발·재건축 권한을 기초자치단체로 넘겨 지금은 15년 넘게 걸리는 사업 기간 단축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준석 후보는 재건축·재개발 때 전용면적 59㎡를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고밀도 개발을 활성화해 주택공급 물량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부동산 공약 중 주목되는 부분은 세금제도다. 각 당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제 역시 일정 부분 온도차가 있지만, 과거와 비교하면 차이가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문수 후보는 종합부동산세 개편, 양도소득세 중과세 폐지와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폐지 등 규제완화책을 공약했다. 이는 윤석열 정부가 추진했으나 국회에서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해 실현하지 못한 정책들이다.

비수도권 주택에 대한 취득세 면세와 각종 규제를 면제하는 한국형 화이트 존을 도입해 민간주택시장 공급을 확대하겠다는 공약도 내놓았다.

이재명 후보는 아직 부동산 세제 완화 관련 공약을 제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발언을 보면 예전보다 꽤 누그러진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 후보는 지난 8일 경제 유튜버들과의 대담에서 “실수요자 외 집을 사겠다는 사람들에 대해 굳이 막 세금을 때려가지고 억누르지 말자(는 생각이다)”고 말했다.

이준석 후보는 청년·신혼·다자녀·노년 단계별로 취득세와 양도세 감면을 확대하는 ‘생애주기 맞춤형 주택 세금 감면’을 제안했다.

공공임대 주택 확대 기조 역시 후보 간 차이가 크지 않다.

이재명 후보는 고품질 공공임대주택과 공공임대 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공약했으나 아직까지 구체적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문수 후보도 공공주택 10% 이상은 1인 가구 맞춤형으로 건설해 특별공급하고, 대학가 원룸촌의 용적률·건폐율을 완화해 민간 원룸 주택이 반값에 공급되도록 하겠다고 공약했다.

부동산 정책은 각 정당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보여주는 대표 공약인만큼 매번 대선의 주요 이슈였는데, 이번 선거에서는 양상이 전혀 다르다는 것이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이재명 후보가 재건축을 활성화하겠다거나 분담금을 낮추겠다고 공약한 것은 주목되는 변화로, 이로 인해 양당의 부동산 공약이 비슷해졌다”고 말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지지율에서 앞선 이재명 후보의 경우 부동산 이슈를 전면에 내세우려 하지 않을 것”이라며 “부동산 이슈가 중요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잘못하면 역효과가 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