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울변전소 증설 갈등 지속…하남시장·한전사장 담판에도 합의 ‘불발’

한전 "증설 없이는 동해안-수도권 HVDC 못 끌어와"
하남시 "옥내화 부분허가…증설은 주민수용성 미확보로 어렵다”
지난해 말 경기도 행정심판위, 한전 손 들어줬지만 갈등 지속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2025-04-24 22:17:43

변전소 사진. 연합뉴스 변전소 사진. 연합뉴스

동서울변전소 증설을 둘러싼 한국전력(한전)과 하남시 간 갈등이 지속하는 가운데, 김동철 한전 사장과 이현재 하남시장이 24일 직접 만나 담판을 시도했지만 합의는 결렬됐다.

전력업계에 따르면 김동철 한전 사장과 이현재 하남시장은 이날 오후 하남시청에서 비공개 면담을 가졌다.

이번 만남은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동서울변전소 증설을 둘러싼 하남시와 한전 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자리였지만, 지자체장과 기관장의 짧은 면담에 이어 실무진 간 '끝장토론'까지 진행됐음에도 뚜렷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한전 측은 "하남시와의 협의에서 하남시는 '옥내화 허가'는 가능하지만, 증설의 경우 주민 수용성이 확보되지 않아 어렵다는 입장을 견지했다"고 밝혔다.

이어 "동서울변전소 증설이 없다면 동해안-수도권 초고압직류송전(HVDC)을 끌어와 전기를 사용할 수 없다"며 "이 때문에 옥내화에 대한 부분허가는 실제로 의미가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하남시는 전자파, 소음, 도시 미관 훼손 등의 이유로 한전의 동서울변전소 증설을 불허해 왔다.

해당 사업은 한전이 약 7000억 원을 들여 2026년 6월까지 기존의 변전 시설을 옥내화해 확보한 여유 부지에 HVDC 변환소를 건설하는 것이다.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를 통해 들어올 추가 전기가 수도권 일대에 공급되기 위해서는 동서울변전소 증설이 필수적이라는 게 한전 측 설명이다. 동서울변전소 증설이 이뤄지지 않으면, 원전을 비롯한 동해안 일대 발전소에서 만든 전기를 수도권으로 나르기 위한 국책 사업인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가 제 기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남시가 지난해 8월 지역 주민 반대 등을 들어 이 같은 사업에 대해 불허 처분을 내리자, 한전은 경기도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같은 해 12월 경기도 행정심판위원회는 하남시의 결정이 부당하다며 한전의 손을 들어줬다.

한전은 이날 "경기도 행정심판위의 법적 결정에도 하남시는 이를 무시하고 인허가를 지연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하남시가 재량권을 남용한 부당 행정을 했으며, 국가전력망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행위를 했다"고 밝혔다.

한전 직원들은 지난주부터 '더이상 늦출 수 없습니다. 전력공급이 시급합니다'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하남시청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한전은 "지금처럼 전력망 건설 지연이 계속된다면 동해안의 풍부하고 값싼 전력 대신 더 비싼 전기를 사용해야만 한다"며 "이로 인한 요금 인상 요인은 연간 3000억 원이나 되고, 결국 그 부담은 국민께 돌아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