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생활주택 공급 9년…'지역별 쏠림현상·기반시설 취약' 개선 시급

2016-05-19 11:49:26

부산 해운대구 중동의 팔레드시즈 건물. 부산일보 DB

공급 9년차에 접어든 도시형생활주택이 우후죽순으로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당초 1~2인 가구의 전·월세 불안해소를 목적으로 도입됐지만 상대적으로 열악한 거주환경과 지역별 물량 쏠림 등으로 인해 소비자가 기피하는 주거공간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 서울·경기·부산에 전체물량 70% 쏠려
  

도시형생활주택은 1~2인 가구 전·월세 불안 해소를 목적으로 2009년 4월 탄생했다. 아파트와 달리 6개월에서 1년이면 준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2011년 이후 준공물량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1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도시형생활주택 공급물량은 2009년 4월부터 올 3월까지 총 33만959가구가 준공됐다.
 
2009년 78가구가 준공된 이후 2010년에 2,615가구가 세워졌으며 2011년(2만3,975가구)부터 폭발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후 2012년(5만3,735가구), 2013년(8만6,120가구), 2014년(7만5,328가구), 2015년(7만909가구) 등 연평균 7~8만 가구가 지어졌다.
  
같은 시기 오피스텔은 연평균 3만3,000실 가량이 입주(준공)한 점에 비춰보면, 오피스텔 대비 2배 이상 물량이 쏟아진 상황이다. 게다가 2016년에도 1분기에 18,199가구가 준공되며, 추세로 보면 올해 12월까지 약 7만 가구 가량이 더 준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간 물량이 늘어나면서 지역별 물량 쏠림도 심화됐다.
 
전국 33만959가구 가운데 서울에 34.1%(11만2,943가구)가 집중됐고 경기(24.8%, 8만1,991가구), 부산(12.0%, 3만9,678가구) 등에 전체물량의 70% 이상이 쏠렸다.
 
도시형생활주택은 오피스텔과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물량이 쏠린 서울지역(도시형 11만 재고 가구, 오피스텔 재고 24만가구)의 경우 임대수익률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도 지목된다. 특히 서울 내에서도 강남보다는 강서구나 영등포구, 구로구 등 서남부권 쏠림이 심한 편이어서 초과공급 우려감이 높다.
 
◆ 도시형생활주택 10채 중 6.5채는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은 1~2인 가구를 주요 공급 대상으로 하면서 10채 중 6.5채는 원룸형으로 공급됐다.
 
다양한 유형이 공급되지 못한 이유는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법 규정에 예외사항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결국 주거환경이 상대적으로 더 열악해졌다. 특히 원룸형은 주차장이 세대 당 0.5~0.6대 기준이어서 주차공간 확보가 어렵고 진입도로는 좁아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에 취약하다. 과도한 규제완화가 지난해 발생한 의정부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와 관련 부동산114 관계자는 "도시형생활주택은 2009년 이후 8년 동안 전국에 33만가구가 넘는 물량이 준공되면서 주택시장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면서 "하지만 거주환경이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원룸이 대부분이다. 안전성과 치안불안 등의 이유로 소비자가 기피하는 주거공간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우후죽순 쏟아지다 보니 초기 조성 목적이었던 '1~2인 가구의 전·월세 불안 해소' 조차 요원해 보인다"며 "제도 보완과 지역별 공급량 조절을 통해 거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형태로의 개선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자료=부동산114 제공
 
온라인이슈팀 issue@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