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파리 쏘임 잦았던 해운대해수욕장, 어촌계 설득해 차단망 긴급 설치

업체·어촌계 갈등 봉합
퇴치 선박도 2대 더 투입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2025-08-01 14:53:22

부산 해운대구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 해운대구청 전경. 부산일보DB

어촌계와 해파리 차단망 제작·설치 업체 사이의 갈등으로 차단망 설치가 불발돼 피서객 안전에 대한 우려를 낳았던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 해파리 차단망이 설치된다.

해운대구는 해운대해수욕장 앞 1.25km 해상에 해파리 차단망을 설치할 예정이라고 1일 밝혔다. 구청에 따르면 현재 차단망 제작 작업이 진행 중이다. 작업에는 일반적으로 2주가량 걸리지만 구청은 이를 대폭 줄여 다음 주 중 차단망을 설치할 계획이다. 오는 9일 전에는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기존 선박을 활용한 퇴치 작업도 지속할 예정이다. 최성수기인 8월 2~3일에는 해파리 퇴치 선박을 2대 더 투입해 총 6대 운영한다. 해안가로 떠내려온 해파리는 민간수상구조대가 뜰채를 이용해 수거할 예정이다. 실시간 해파리 예찰과 응급 대응 체계도 운영한다.

해운대구는 매년 해운대해수욕장 개장 때마다 해파리 차단망을 설치해 왔으나 올해는 설치에 실패했다. 해파리 차단망은 해운대구로부터 사업권을 받은 민간 업체가 제조와 설치를 담당한다. 어촌계는 이를 제공받아 자신들의 어장 위로 그물망을 설치한다. 올해는 어촌계 측이 그물망 설치 대가로 업체에 요구한 비용이 많아 협의가 되지 않았다.

이에 해운대구는 선박 4척을 동원해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해파리 수거에 나섰지만, 그동안 15명의 해수욕객이 쏘임 사고를 당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 본격 피서철에 들어서며 해수욕객이 늘어나고 있어 우려도 커지는 상황이었다.

해운대구는 해파리 차단망 설치를 구청 방침으로 정하고 어촌계에 협조를 강하게 요청했다. 최근 국립수산과학원이 울산·경북 앞바다에 해파리 예비주의보를 발표하고 해양수산부가 해파리 대량 발생 위기 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한 데 따른 것이다.

해운대관광시설관리사업소 관계자는 “선박을 동원해 해파리를 잡을 수 있었던 지난달과는 상황이 달라졌음을 어촌계에 설명했다”며 “차단망 설치를 구청 방침으로 정할 만큼 긴급을 요하는 상황이라며 설득했으며 어촌계에서도 이에 응했다. 앞으로 해파리 쏘임 없는 해운대해수욕장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