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진 기자 mjkim@busan.com | 2025-08-01 14:07:12
“낙동강 쓰레기 폭탄에 거제 어민 다 죽는다.”
경남 거제 지역 어민들이 뿔났다.
매년 장마철이나 집중호운 때마다 반복되는 낙동강 변 쓰레기 유입으로 생계의 위협을 받고 있다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거제 지역 어민들은 최근 ‘낙동강 쓰레기에 따른 어업피해 대책위원회’를 꾸리고 관할 기관인 낙동강유역환경청의 공식 사과와 적절한 보상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대책위에 따르면 낙동강청은 경남 내륙에 기록적 폭우가 쏟아진 지난 18일 오후 5시부터 낙동강 하구언 수문 10개를 완전히 개방했다.
이후 불과 이틀 뒤인 20일부터 거제 동·남부 연안은 조류를 타고 떠밀려온 초목류와 각종 생활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낙동강 하구와 맞닿은 장목면이 심각한 수준이다.
전체 600여t 중 절반에 가까운 250t 상당이 장목면 해안에 집중된 것으로 추정된다.
흥남해수욕장 등 주요 해변까지 쓰레기로 뒤덮이면서 본격적인 휴가철에도 피서객을 맞지 못하고 있다.
거제시는 열흘 넘게 100명이 넘는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쓰레기 수거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지금도 백사장을 따라 상당량의 쓰레기가 쌓였다. 피서객은 손에 꼽을 정도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한해에도 몇 번씩 되풀이되고 있다는 점이다.
거제시 자료를 보면 지역 연안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2022년 1442t, 2023년 2378t, 2024에 1505t에 달한다.
막대한 양의 쓰레기는 장목면은 물론 옥포, 능포와 동부면까지 한 번에 덮어버린다.
이로 인해 어민들은 생업을 포기할 지경에 이르렀다는 게 대책위 주장이다.
대책위는 “낙동강 쓰레기는 거제어민은 물론 시민에게도 재난이다. 지자체와 정부에 수차례 건의했지만 제대로 된 대책은 없었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관할 기관은 ‘천재지변이기에 어쩔 수 없다’는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반면, 대책위는 이는 “변명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대책위는 “방류 전에 수거하면 되는 간단한 문제”라며 “수거 업체에 맡기면 불과 몇억 원에 다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사전 예고도 없이 무차별 방류하면 수십 배의 예산 낭비에다 어업과 관광산업까지 천문학적인 손실이 발생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지경인데도 대책을 못 세운다면 직무 유기”라며 “낙동강청은 피해 어민에게 사과하고 적절한 보상과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대책위 공경일 위원장은 “어민 생존권 차원에서 정부와 낙동강을 관리하는 낙동강청, 거제시를 상대로 강력하게 투쟁해 나갈 것”이라며 “어민들 뜻을 모아 공동 투쟁하고 향후 손해배상도 청구할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거제시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가뜩이나 빠듯한 지방 재정에 수거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올해 거제시가 편성한 해양 쓰레기 수거 예산만 11억 4000만 원이다.
그나마 올해는 국도비가 지원돼 재정 부담은 일부 줄었다.
하지만 비만 오면 되풀이되는 탓에 추가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다.
정화 선박도 교체가 시급하다.
현재 거제시가 보유한 정화선은 통통배 수준인 5t급 노후선인 데다, 바다에 떠다니는 쓰레기를 인양할 집계(크레인)가 없어 사실상 운반선 역할만 수행한다.
거제시 관계자는 “기상 상황에 따른 추가 유입에 대비 비상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면서 “시민의 안전과 깨끗한 해양 환경 유지를 위해 국가 차원의 지원과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