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가능성’ 이재명 54.7% 김문수 38.3% 이준석 4.5% [한신협 여론조사]

호남·수도권서 이재명 우세, TK는 김문수 강세
청년층은 이재명, 고령층은 김문수로 양분
무당층·중도층도 이재명 당선 전망 우세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2025-05-26 16:00:31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연합뉴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가장 높은 당선 가능성을 가진 인물로 평가됐다. 전체 응답자의 과반이 이재명 후보가 당선될 것으로 전망한 반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30%대 후반,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한국지방신문협회가 26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본인의 지지와 상관없이 누가 대통령으로 당선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이재명 후보는 54.7%, 김문수 후보는 38.3%, 이준석 후보는 4.5%로 나타났다. 기타 후보는 0.3%, ‘없음’은 0.6%,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6%였다.

지역별로는 이재명 후보가 호남과 수도권에서 압도적인 우세를 보였다. 광주·전남 71.9%, 제주 67.8%, 전북 60.6%, 인천·경기 58.5% 순으로 이 후보에 대한 당선 전망이 높았다. 서울에서도 이재명이 53.2%, 김문수가 38.9%를 기록했다.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김문수 후보가 56.4%로 이재명 후보(35.4%)를 앞섰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는 이재명 52.6%, 김문수 41.2%로 나타났다. 이준석 후보는 대부분 지역에서 한 자릿수 응답률을 보였고, 전북 지역(9.1%)에서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게 예측됐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는 3.4%를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젊은 세대에서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전망했다. 18~29세에서는 이재명 58.7%, 김문수 28.1%, 30대에서는 이재명 51.7%, 김문수 36.9%였다. 40대(68.8%)와 50대(59.8%)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우세를 보였지만, 60대 이상에서는 흐름이 뒤바뀌었다. 60대 이상은 김문수 49.2%, 이재명 46.4%, 70대 이상은 김문수 54.9%, 이재명 40.7%로 나타났다. 이준석 후보는 20대에서만 두 자릿수인 11.4%를 기록했고, 30대(6.9%)를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는 5% 미만에 그쳤다.

정치 성향별로도 이재명 후보는 우위를 보였다. 무당층 응답자 가운데 54.3%는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봤고, 김문수 후보는 26.1%였다. 중도 성향 유권자 사이에서도 이재명 63.2%, 김문수 27.5%로 배 이상의 격차가 나타났다. 진보 성향 응답자 중에서는 이재명이 88.4%, 보수 성향 응답자 중에서는 김문수가 67.4%로 각각 강세를 보였다. 이준석 후보는 모든 성향(진보 1%, 중도 6.5%, 보수 5.2%)에서 한 자릿수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후보에 대한 지지와 별개로 유권자들이 현실적으로 어느 후보가 당선될지를 판단한 인식 흐름을 보여준다. 특히 중도층과 무당층에서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게 본 비율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는 점은, 이 후보가 지지 기반을 넘어 확장성 면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김문수 후보 역시 TK 지역과 보수층에서 강한 결집력을 보였고,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확고한 우위를 확보하고 있어 각 후보 캠프의 전략과 대응이 향후 판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부산일보> 등 전국 9개 권역의 메이저 지역 언론이 소속된 한국지방신문협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주)에이스리서치가 지난 24~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028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 가상번호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응답률 9.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 부산·울산·경남 442명 등 전국 9개 지역에서 유의미한 표본수를 얻은 결과로 지역별 민의가 충분히 반영됐다. 통계 보정은 올 4월 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셀가중 부여 방식을 사용했다. 통계값은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통계표 결과 단순 합산에서 반올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일을 사흘 앞둔 26일 서울 중랑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대선 사전투표관리관 교육에서 중랑구 선관위 관계자들이 투표함 봉함 등 절차를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일을 사흘 앞둔 26일 서울 중랑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대선 사전투표관리관 교육에서 중랑구 선관위 관계자들이 투표함 봉함 등 절차를 시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