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3선 전재수 ‘조기 대선’ 출마 시사…지역 야권 요동

11일 “민주당 유일 부산 의원인 내게 차기 대선 역할 요구 많아”
부산 민주당 유일 3선, “민주당 전국정당 만들 전략 내게 있어”
같은 PK 친문 적자인 김경수 전 지사와 지지 기반 겹친다는 지적
전 의원 친명·친문 아닌 독자 노선 표방…지역 야권 분화 가능성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2025-02-11 16:57:26

더불어민주당 전재수(부산 북갑) 의원. 부산일보DB 더불어민주당 전재수(부산 북갑) 의원. 부산일보DB

더불어민주당 부산 유일 현역인 3선의 전재수(북갑·53) 의원이 11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전제로 한 ‘조기 대선’ 출마 가능성을 시사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이 임박해지면서 조기 대선을 기정사실로 여기는 야권 주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재명 대표의 독주 체제에서 전 의원의 출마가 야권의 대권 구도에 어떤 변수가 될지는 지켜볼 일이다.

다만 문재인 전 대통령의 ‘복심’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최근 대권 행보에 나선 상황에서 친노(친노무현) 핵심인 전 의원까지 경쟁에 뛰어들 가능성이 커지면서 친노·친문(친문재인) 본산인 PK(부산·울산·경남) 야권 내 기대와 걱정이 교차하는 분위기다.

전 의원은 11일 <부산일보>와의 통화에서 대선 출마 여부를 묻는 질문에 “주변에서 민주당 유일 부산 의원으로서 차기 대선에서 역할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요구가 많아 얘기를 듣는 중”이라며 “다만 최근 당 상황과 시대 상황에서 내가 감당할 수 있느냐가 마지막 고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지난 총선에서 ‘붉은 밭’이 된 부산에서 나는 ‘푸른 한 점’ 아니냐”며 “민주당이 더 많은 사람에게 사랑 받을 수 있는 전국 정당이 되는 전략이 나에게 있다”고 자신의 강점을 부각했다. 이와 관련, 전 의원을 지원하는 수도권의 한 전직 의원은 최근 당내에 ‘전 의원을 위해 뛰겠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전 의원은 차기 대선의 시대 정신과 관련, “지금 이 시대에 국민들이 가장 갈구하는 것은 싸움을 종식시키고, 평화로워지기를 원하는 것 아니겠느냐”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법 제도적 개혁과 함께 리더십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갈등유발형 리더십의 정점”이라고 비판했지만, 그 대척점에 서 있는 이재명 대표에 대해서는 “만약 출마한다고 해도 이 대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비명(비이재명)계 대권주자들이 일제히 당의 ‘이재명 일극 체제’를 비판하며 이 대표와 각을 세우는 상황에서 이와는 다른 차별화 노선을 걷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전 의원은 또 최근 이 대표의 ‘통합’ 노력을 촉구하며 사실상 대선 몸풀기에 나선 김 전 지사와 지지 기반이 겹친다는 지적과 관련, “만약 출마한다고 해도 김 전 지사와는 정치적 스탠스가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친명(친이재명)은 아니지만, 친문(친문재인)에도 기대지 않는 독자적인 행보를 예고한 셈이다.

PK 민주당의 반응은 엇갈린다. 부산 민주당 핵심 인사는 “당의 험지인 부산의 유일한 현역인 전 의원의 정치적 위상이 과소평가된 측면이 있다”면서 “전 의원이 전국정당화를 기치로 존재감을 보일 경우 PK 민주당으로서도 나쁠 게 없다”고 말했다. 반면 지역의 한 야권 인사는 “PK 친노·친문이 이재명 체제에서 크게 쪼그라든 상황에서 두 사람이 동시에 나설 경우 지역 야권 내부의 분열 이미지만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당 일각에서는 예상치 못했던 전 의원의 대권 도전 움직임을 내년 부산시장 선거를 겨냥한 ‘몸집 키우기’로 보는 시각도 있다.

과거 노무현 사단의 ‘막내’ 격으로 정계에 입문한 전 의원은 민주당 험지인 부산에서 3전4기 끝에 20대 총선에서 당선, 22대까지 내리 3선을 지냈다. 특히 22대 총선 당시 막판 보수 결집으로 현역 2인을 비롯해 18개 지역구 중 17개 지역에서 민주당 후보가 모두 낙선하는 힘겨운 상황에서도 승리해 ‘전인미답’의 부산 3선 고지에 올랐다. 현재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을 맡고 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