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의 ‘행정수도 이전’ 다시 들고 나온 김경수

행정수도 지방이전 관련 국회 토론회 참석
SNS에선 “5+3 초광역 지방정부 체제” 주장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2025-02-18 16:01:21

더불어민주당의 잠재적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잠재적 차기 대선주자로 거론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계 대권 주자들이 18일 ‘행정수도 이전’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행정수도 이전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핵심 정책이었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지방분권을 위한 개헌 필요성도 주장했다. 개헌 논의를 거부하는 이재명 대표와의 차별화라에 나선 것이다..

민주당의 비명(비이재명)계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이광재 전 강원지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행정수도 세종 이전의 추진방안과 과제’ 토론회에 참석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토론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행정수도 이전은 노 전 대통령의 꿈이었다. 이제 완성을 시킬 때가 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실의 경우 (차기 정부가)용산을 쓸 수도 없고, 완전히 개방된 청와대를 사용하기에도 어려움이 있어 어디를 쓸지 정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빠르게 세종으로 이전하는 것이 현실적 방안”이라고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대통령이 어떤 공간에서 업무를 보는가는 국가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윤석열 정권이 군 수뇌부가 있는 국방부에 갔다가 군을 동원한 계엄을 한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주장했다. 그는 개헌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행정수도 관련한 부분도 개헌 사항이고, 국토 균형발전을 통한 초광역 단위 지방정부 시대를 열어야 할 필요도 있다”며 “제대로 된 지방정부를 위한 개헌이 따라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이재명 대표 체제 민주당’에 대해서는 “지금의 민주당이 국민에게 압도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민주당이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전 지사도 이날 토론회에서 ‘국토 균형발전과 세종시에 대한 노무현의 꿈’이라는 주제로 발제하면서 “노 전 대통령의 꿈을 다시 살펴보면서 불법 계엄으로 고난을 겪는 국민들을 다시 통합하기 위한 열의와 각오를 다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와 이 전 지사가 ‘행정수도 이전’에 힘을 싣는 데 대해선 대권 경쟁자인 이 대표와의 차별화된 정책을 부각시킨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행정수도 이전은 노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정책이어서 친노·친문 인사인 김 전 지사와 이 전 지사가 ‘정통성’을 주장하고 나선 셈이다.

이 대표가 개헌 논의에 대해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힌 상황에서 친노·친문계는 분권형 개헌을 통한 지방분권, 지역균형 발전도 강조하는 모습이다. 김 전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균형 발전을 위해 ‘초광역 지방정부 시대'를 열어야 한다”면서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바꾸고 전국을 5대 초광역권(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대구경북권, 부산경남권)과 3대 특별자치도(강원, 전북, 제주)로 재편하는 ‘5+3 초광역 지방정부’ 체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