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 | 2025-04-24 19:25:00
부산시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지난해 처음으로 남았다. 시는 최근 잇따른 전기차 화재와 경기 침체 등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결과라고 보고 있다.
24일 환경부가 운영하는 전기·수소차 보급 지원 통합 포털 ‘무공해차’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시가 구매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공고한 전기 승용차 4940대 가운데 4398대가 출고됐다. 보조금 지급이 책정된 차량 수에 비해 신청이 적어 542대(약 11%)가 남은 것이다.
부산시에서 보조금 지원 신청이 미달된 사례는 통계가 작성된 2019년 이래 처음이다. 앞서 2019년(1466대), 2020년(1621대), 2021년(4964대), 2022년(6410대), 2023년(4184대) 보조금 지급 전기차 출고율은 100%로 예산이 전부 소진됐다.
올해도 보조금 예산 소진 가능성은 불확실하다. 2025년 부산시가 공고한 전체 보조금 지원 3770대 가운데 현재까지 1052대가 출고돼 소진율은 약 28%에 머무르고 있다. 지난 2월 5일 시작된 신청 기간은 12월 12일까지로 7개월여 남았다.
전기차 수요가 줄어든 배경에는 최근 잇따른 화재로 사회 전반에 퍼진 ‘전기차 포비아’가 있다. 특히 지난해 8월 인천 청라동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는 이전까지 소비자들이 지녔던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구체적인 두려움으로 키웠다.
부산시의 전기차 보조금은 대부분 지자체보다 낮다. 무공해차에 따르면 부산시의 전기승용차 보조금은 대당 280만 원이다. 부산시의 보조금은 서울(60만 원), 대구(250만 원) 등에 비해 높지만 울산(290만 원), 경남(520만~910만 원) 등 대부분 지자체보다 낮다.
부산시는 전기차 보급을 지속적으로 장려하기 위해 구매 지원을 늘리고 있다. 시는 지난해 하반기 전국 최초로 ‘지역할인제’를 도입했다. 전기차 제작·수입 업체에서 50만 원을 할인하고, 시가 최대 50만 원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최대 10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하는 제도다.
올해는 여기에 더해 출산 가정에 대한 보조금도 지급해 지원을 확대했다. 시는 지난해 1월 이후 출산하고, 전기차를 구매한 가정에는 첫째 출산 시 100만 원을, 둘째 이상을 출산하면 150만 원을 지급한다. 전기차 보급을 출산 장려와 결합한 정책으로 전국에서 처음 도입됐다.
부산시는 도시 규모에 비례해 보조금 예산 자체가 크다 보니 예산 소진에 다소 불리하게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