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컨트롤타워' 복귀… “극단 사회는 불행”

한덕수 기각 결정 즉시 업무 복귀
"좌우 없고, 초당적 협력 필요"
극단 치닫는 여야 정치권에 협조 당부
안보·치안 유지, 재난 관리 긴급 지시도
尹 선고일은 오리무중…다음 주 전망도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2025-03-24 16:16:27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위원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위원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지난해 국회 탄핵소추안 가결로 직무가 정지된 지 87일 만에 돌아왔다.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수행하게 된 한 대행은 이날 대국민담화를 통해 “극단으로 갈라진 사회는 불행으로 치달을 것”이라며 여야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을 거듭 촉구했다.

한 대행은 이날 헌법재판소의 탄핵 기각 결정 이후 곧바로 정부서울청사로 출근해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한 대행은 담화에서 “지난 몇 년간 우리가 명백히 목격하고 배운 것이 있다면 극단으로 갈라진 사회는 불행으로 치달을 뿐 누구의 꿈도 이루지 못한다는 점”이라며 “여야와 정부가 정말 달라져야 한다. 저부터 그렇게 하겠다”고 목소리 높였다. 이어 “헌법과 법률에 따라 안정된 국정 운영에 전력을 다하는 한편 이미 현실로 닥쳐온 통상 전쟁에서 우리나라의 국익을 확보하는 데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대행은 통합과 초당적 협력을 당부했다. 한 대행은 “초당적 협력이 당연한 주요 국정 현안들을 안정감 있고 동시에 속도감 있게 진척시킬 수 있도록 저부터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대한민국이 합리와 상식의 시대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오로지 나라와 국민 전체를 바라보며 제가 들어야 할 모든 목소리를 듣겠다”고 선언했다. 이어 “대한민국이 지금의 위기 국면을 헤치고 다시 한번 위와 앞을 향해 도약할 수 있도록 여야의 초당적 협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 속 극단으로 치닫고 있는 여야 정치권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한 대행은 이날 출근길에서도 “이제 좌우는 없다. 오로지 우리나라가 위로 앞으로 발전하는 것만이 우리의 중요 과제”라며 여야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을 거듭 강조했다.

한 대행은 이날 복귀하자마자 관계 부처에 안보·치안 유지와 재난 관리를 위한 긴급 지시를 내렸다. 곳곳에서 드러난 ‘국정 공백’ 문제를 다잡겠다는 취지이다. 한 대행은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과 합참의장에게 ‘전군 경계 태세 강화’를 지시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보를 흔들림 없이 지킬 수 있도록 하라”고 주문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대응과 관련 외교부 장관에게는 “불확실한 국제 정세 속 한미 공조와 우방국 협조를 공고히 하고, 우리 정부의 대외 정책 기조에 변함이 없음을 국제사회에 알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오는 26일로 예정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공직선거법 위반 2심 사건 선고와 임박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와 관련,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과 경찰청장 직무대리에게는 “과격 시위 등으로 인한 재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집회 관리, 주요 인사 신변 보호, 다중 운집 안전관리 대책 등 사회 질서 유지에 각별히 유의하고 이와 관련한 모든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엄정 대응하라”고 주문했다.

한 대행은 당분간 영남권을 중심으로 번지는 산불 진화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한 대행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1층의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를 방문해 “완전히 진화될 때까지 기관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범정부적 총력 대응을 실시하라”고 지시했다. 한 대행은 “이미 선포된 경남 산청지역 이외에 경북 의성, 울산 울주 등에 대해서도 특별재난지역을 신속히 선포해 피해지역 주민이 온전한 일상으로 하루빨리 복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추후 산불 사태가 안정 국면으로 접어들면 한 대행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해 안보 상황을 점검할 전망이다.

한편,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은 오는 28일 금요일로 전망되지만, 이마저도 다음 주 후반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헌재가 이 대표 2심 선고가 있는 오는 26일까지 선고일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은 다음 주로 넘어갈 공산이 크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