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판 내린 치안센터, 빈집 걱정에다 치안 공백 걱정까지 [치안도 수도권 집중]

부산서만 치안센터 50개소 폐지
매각 안 돼 방치된 치안센터 8곳
방범 역량 불안감 해소도 과제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 2025-08-11 19:35:00

지난해 11월 부산 사하구 옛 장림1치안센터를 리모델링해 지역 시니어들의 새로운 일터로 탈바꿈한 ‘나라On 시니어 일터’ 2호점 개업식 모습. 캠코 제공 지난해 11월 부산 사하구 옛 장림1치안센터를 리모델링해 지역 시니어들의 새로운 일터로 탈바꿈한 ‘나라On 시니어 일터’ 2호점 개업식 모습. 캠코 제공

2023년 부산 지역에서 대거 폐지된 치안센터 상당수가 민간에 매각되거나 공익 시설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방치와 치안 공백에 대한 우려도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현재 부산에서 운영되고 있는 치안센터는 39개소다. 부산경찰청은 2023년 12월 부산 지역 치안센터 88개소 가운데 50개소를 폐지했다. 시설 노후와 치안 수요 저조 등에 따른 결정이었다.

폐지된 50개소 가운데 매각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사실상 방치되고 있는 시설은 8개소다. 시민들은 공실 상태가 장기화한 치안센터 건물이 일대 거리 미관을 해치고 쇠락한 도시라는 인상을 풍긴다고 지적한다. 폐지된 치안센터 인근에 거주하는 최 모(36·부산 부산진구) 씨는 “빛바랜 치안센터 간판이 주변과 섞이면서 오히려 동네가 방치된 느낌을 준다”며 “차라리 치안센터 건물을 철거하거나 누군가 매입해 하루빨리 활용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치안센터 폐지 이후 지난해 중심지역관서제 도입이 이어지면서 불안감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있다. 중심지역관서제란 인근 지구대와 파출소 2~3곳을 묶어 범죄 빈도 높은 곳에 인력과 장비를 집중하는 방식이다. 존재만으로 범죄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던 치안센터가 문을 닫고, 남은 지구대와 파출소의 인력도 줄어들면서 거주지 인근의 방범 역량이 떨어지는 것에 대한 우려다.

폐지된 치안센터 중 철거됐거나 철거 예정인 곳은 8개소다. 13개소는 지자체 등 원래 건물 소유주에게 반납하거나 양도됐다. 나머지 29개소는 국유 자산으로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 인계됐다.

캠코로 인계된 치안센터는 매각 절차를 밟는다. 이 중 상당수는 민간에서 매입했다. 지난해 8월부터 올해 4월까지 14개소를 민간이 매입했다. 매각 대금은 약 100억 원으로 국고로 귀속됐다. 이들 치안센터 대부분은 부지가 작지만 접근성이 뛰어나는 등 입지가 좋아 활용도 높은 ‘알짜’로 꼽힌다.

도심 내 활용 가능한 공간이 부족한 지자체도 치안센터 매입에 나섰다. 부산 동래구는 올해 2월 약 22억 원을 들여 각각 도시재생사업과 전통시장 배송 서비스 시설로 활용하기 위해 수안치안센터, 사직1치안센터를 매입했다.

폐지된 치안센터는 민관 협력을 통해 공익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캠코는 지난해부터 장림1치안센터 등 2개소를 노인 일자리 사업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캠코가 유휴 건물을 제공하면 지역 시니어클럽에서 이를 활용해 식당 등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국제금융단지 앞 부산도시철도 2호선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인근에 자리했던 문현2치안센터는 올해 4월 사회적기업이 운영하는 발달장애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필라테스 센터로 탈바꿈했다. 양정2치안센터는 철거 후 어린이 해양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계획이다. 지난해 4월 해운 선사들이 설립한 공익재단 ‘바다의품’은 부산시에 어린이 해양도서관과 해양복합문화공간 건립 비용으로 17억 원을 기부했다.

경찰은 치안센터 폐지가 방범 역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부산경찰청 관계자는 “치안센터는 민원 창구 기능을 주로 수행해 왔기 때문에 폐지로 인해 범죄 대응 역량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관할 지구대에서 해당 지역 순찰을 강화하는 등 치안 공백이 없도록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