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46.5% 김문수 40.4% 이준석 10.3% [한신협 여론조사]

24~25일 전국 3028명 최대 규모 조사 실시
이재명 우위 속 김문수 40%대 진입, 격차 좁혀
보수 단일화 관련, 이준석 지지층 27.8% ‘후보 바꿀 수 있어’

전창훈 기자 jch@busan.com 2025-05-26 16:00:02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연합뉴스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연합뉴스

6·3 대선을 8일 앞둔 시점에 한국지방신문협회(한신협)가 실시한 최대 규모의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6.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40.4%,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10.3%의 지지율을 얻는 것으로 26일 나타났다. 지역별로 부산·울산·경남(PK)에서 이재명, 김문수 후보가 각각 43.8%, 43.4%로 초박빙 경쟁을 벌이면서 ‘비상계엄’ 여파로 인해 PK의 보수 우위 지형이 약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최대 변수인 보수 후보 단일화와 관련, 이준석 후보가 완주 의사를 보이는 상황에서 이 후보 지지층의 막판 ‘이탈’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이번 조사는 <부산일보> 등 9개 권역의 유력 언론사가 소속된 한신협이 에이스리서치에 의뢰, 지난 24~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0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대 규모 조사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P)다. 이번 조사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여전히 오차범위 밖 우세를 보였지만, 최근 상승 추세인 김 후보가 40%대에 올라서면서 격차를 좁혔다. 김 후보 측의 단일화 요청을 완강하게 거부하고 있는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은 최근 나온 여론조사 추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잘 모름’, ‘없음’으로 답한 부동층은 2%로 진영 별로 유권자들의 표심은 거의 굳어진 것으로 관측된다. 당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이재명 후보가 54.7%로 과반을 얻었고, 김문수 후보는 지지율보다 조금 낮은 38.3%, 이준석 후보는 지지율의 절반 수준인 4.5%로 나타났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지는 이번 대선 내내 정권 교체 여론이 높았던 상황이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에서 보수 진영의 김 후보와 이준석 후보의 지지율을 단순 합산하면 50.7%로 이재명 후보를 오차범위 이상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9일 사전투표 직전을 ‘2차 데드라인’으로 보는 김 후보 측의 단일화 압박이 한층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현재 지지 후보를 앞으로 바꿀 수 있느냐’는 물음에 이재명 후보, 김 후보 지지층은 각각 8.5%, 8.0%로 나타났지만, 이준석 후보의 경우 27.8%가 지지 후보 변경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준석 후보 측은 보수 지지층이 막판에 자신으로 ‘전략적 선택’을 할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지만, 여론조사 상에서는 이 후보 지지층의 견고함이 김 후보에 비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 선거’ 논란의 여파로 사전투표에 대한 강성 보수 지지층의 반감이 있지만, 응답자의 34.5%는 ‘사전투표를 하겠다’는 의사를 보였고, 63.3%는 ‘본투표를 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보수 성향 응답자 가운데 75.4%가 본투표 참여 의사를 밝힌 반면, 진보 성향 유권자들은 본투표 47.6%, 사전투표 50.3%로 나타나 뚜렷한 대비를 보였다. 투표할 생각이 없다는 응답은 1.5%였다.

지지 후보 선택 기준으로는 ‘능력과 경력’이 35.3%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고, ‘정책과 공약’(27.8%), 도덕성(25.3%), 소속 정당(5.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이 43.1%, 국민의힘 38.5%, 개혁신당 8.0% 순이었고,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6.0%였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51.7%는 이번 대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35.2%는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해 대선 결과가 내년 지방선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특히 영향의 ‘방향성’과 관련, 43.6%는 ‘여당 후보에 유리할 것’으로 본 반면, ‘야당 후보에 유리할 것’이라는 응답은 16.4%에 불과했다. 대선 뒤 1년 만에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에서 여당이 유리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전망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는 <부산일보> 등 전국 9개 권역의 메이저 지역 언론이 소속된 한국지방신문협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업체 (주)에이스리서치가 지난 24~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3028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 가상번호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다. 응답률 9.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 부산·울산·경남 442명 등 전국 9개 지역에서 유의미한 표본수를 얻은 결과로 지역별 민의가 충분히 반영됐다. 통계 보정은 올 4월 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셀가중 부여 방식을 사용했다. 통계값은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통계표 결과 단순 합산에서 반올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