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지방선거가 1년 넘게 남았지만, 윤일현 부산 금정구청장의 시의원직 사퇴로 무주공산인 금정1선거구는 벌써 자천타천으로 다양한 후보군이 물망에 오르내리며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30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 기준 내년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430일 앞으로 다가왔다. 1년 2개월여가 넘는 시간이지만 윤 청장의 시의원직 사퇴로 유일하게 비어 있는 광역의원자리인 금정1(서1~3·금사회동·부곡1~4·장전2·선두구동)에는 정치권부터 학계에 이르기까지 일찍부터 하마평이 무성하다.
여권에서는 지난해 금정구청장 보궐선거에 도전장을 내밀었던 이들이 우선적으로 거론되는 분위기다. 대표적으로 예비 후보 등록에 나섰다가 컷오프됐던 박승기 천혜복지재단 이사장이 있다. 박 이사장은 미래통합당 부산시당 부대변인, 민선 8기 금정구청장직 인수위원회 위원 등을 거쳤다. 이어 지난해 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힘 사하을 예비후보로 나섰다가 공천 배제된 정상모 화신사이버대학교 교수도 출마론이 흘러나오며 9대 금정구의회 후반기 의장을 지내고 있는 최종원 금정구의원 도전 가능성도 제기된다.
더불어민주당에선 지난해 10·16 금정구청장 보궐선거 예비후보로 나섰던 조준영, 이재용 금정구의원의 출마가 유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조 의원은 2014년부터 3선 구의원을 역임해 지역 기반이 탄탄한 인물로 꼽힌다. 이 의원은 사단법인 기본사회 부산본부 사무국장으로 활동하는 등 부산 내 대표적인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다. 두 사람 모두 지난해 금정구청 보궐선거에서 김경지 변호사의 전략 공천으로 레이스에 낙마한 만큼 내년 구청장 선거에 다시 도전장을 내밀지 않겠냐는 게 지역 야권 중론이다.
금정구는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연이어 보수 후보가 당선되며 부산 내에서도 보수 텃밭으로 분류되는 곳이다. 10·16 금정구청장 보궐선거에서 당시 윤일현 후보가 5만 4650표(61.03%)를 얻어 3만 4887표(38.96%)에 그친 민주당 김경지 후보를 상대로 압승을 거뒀다. 그만큼 보수 후보에게 유리한 지역으로 꼽히는 금정이지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 여부 등에 따라 민선 7기 때처럼 부산에서 민주당 바람이 몰아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민심 풍향계가 어디로 갈지 관심이 모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