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취약' 대상포진 곧 유행인데… 접종비 지원 기장군 뿐

부산진구 등 5곳 조례 두고도
재정난에 예산 확보 쉽지 않아
5~9월 60세 이상 발병률 높아
국가검진 포함 등 논의 목소리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2025-04-21 19:45:00

부산 기장군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 기장군청 전경. 부산일보DB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연 90만 명 이상이 고통 받는 대상포진 유행 철이 돌아왔다. 부산에서는 기초지자체 5곳이 고령층에 대한 접종비 지원 조례를 마련하고 있지만, 예산 부담 탓에 실제 지원 중인 지자체는 기장군 1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 16개 구·군 중 대상포진 예방접종비를 지원하는 곳은 기장군뿐이다. 기장군은 지난해 10월 조례를 제정하고, 올 2월부터 의료·생계급여 수급을 받는 65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대상포진 접종비 지원을 시작했다. 생백신은 전액 지원되고, 사백신을 접종받으면 12만 원을 지원 받는다. 기장군 관계자는 “현재까지 약 500명이 지원을 받았다”며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접종비가 고가라서 접종을 못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 조례 제정을 계기로 지원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전국적으로는 기초지자체에서 대상포진 접종비를 지원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부산 지역은 조례를 마련하고도 예산 확보가 어려워 선뜻 지원에 나서지 못하는 모습이다.

동구는 2023년 가장 먼저 지원 조례를 제정했는데, 2020년부터 보건소에서 생백신 접종료를 9만 원으로 타 의료기관보다 저렴하게 제공해온 것을 제외하면 접종비를 별도로 지원하지는 않고 있다. 이후 부산진구, 사상구, 기장군, 강서구도 잇따라 조례를 마련했는데, 이 중 강서구만 올 하반기부터 접종비 지원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나머지 지자체는 예산 확보 어려움을 사업 추진의 장애물로 꼽는다. 부산진구 보건소 관계자는 “구 재정 자립도도 낮고, 코로나19 예방 접종비를 지자체가 분담하는 등 국가 예방접종 관련 지출도 늘어나는 실정이다”며 “제한된 재원에서 우선 순위에 따르게 되는데, 대상포진이 법정 감염병이 아닌 점 등을 고려하면 순위에서 밀리게 된다”고 밝혔다. 사상구 보건소 관계자도 “구 재정상 쉽지 않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상포진은 날씨가 따뜻해 체력이 떨어지는 5월부터 9월 사이, 주로 60대 이상 고령층에 많이 발병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3년 대상포진으로 병원을 찾은 이들 96만 8943명 중 43만 7000명(45%)은 5~9월 사이에 발병했다. 전체 환자 중 60세 이상은 45만 1567명(47%)이었다.

대상포진은 나이가 많을수록 걸리기 쉽고, 치료 후 통증인 ‘대상포진 후 동통’도 발생할 확률이 높다. 예방접종만으로 발생률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발병하더라도 증상이나 후유증 발생률이 낮아지지만, 한 번 맞을 때 최소 15만 원 이상이 들어 접종을 꺼리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접종 지원을 확대하거나 국가 예방접종이나 국가 검진에 대상포진을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동아대병원 가정의학과 한성호 교수는 “대상포진은 수두 등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 바이러스가 신경질에 숨어있다 면역력이 떨어지면 재발하는 병이다”며 “50대 이상 만성 질환을 앓는 사람은 대부분 예방접종 대상자라고 볼 수 있고, 대상포진이 치료된 뒤에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도 접종이 권고된다”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예산이 허락한다면, 대상포진 접종 지원이나 국가검진 포함 등이 이뤄져야 한다”며 “아프기 전에 접종을 받아 예방하는 것이 사회적, 개인적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