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산은 부산 이전 반드시 포함해야”

부산시 10대 대선 공약 과제 제안

균형발전 위해 해사법원 설립 촉구
차세대 부산형 수소 급행철도 포함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2025-04-21 18:39:15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이 21일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부산 발전을 위한 10대 핵심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이 21일 제21대 대선을 앞두고 부산 발전을 위한 10대 핵심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시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제정을 비롯해 부산 지역 핵심 공약 과제를 제안했다.

시는 21일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각 정당과 후보자에게 채택을 촉구할 10대 핵심 공약을 선정해 발표했다.

10대 핵심 공약의 선두에는 시 핵심 현안인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제정과 한국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이 포함됐다.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은 제22대 국회 개원 이후 부산 지역 여야 의원들이 공동으로 발의했지만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 역시 윤석열 정부의 국정 과제에 포함됐고, 지방 이전 대상 기관으로도 지정됐지만 국회 상임위에 계류된 상태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이준승 시 행정부시장은 이 두 과제에 대해 “수도권 일극주의를 극복하고 부산을 남부권의 새로운 혁신 성장 거점으로 만들어보자는 부산 시민들의 염원과 간절함을 담고 있다”며 “결코 정쟁의 대상이 아니라 부산의 미래와 생존의 문제이며, 새로운 대한민국 지역균형발전의 시대를 열 열쇠”라고 강조했다.

해사법원 부산 설립도 균형발전을 위한 과제로 분류됐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의 유력 대선 후보인 이재명 전 대표는 지난 18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함께 부사에 해사전문법원을 설립하겠다는 부산 지역 공약을 발표했다.

2029년 조기 개항을 목표로 추진 중인 가덕신공항이 글로벌 허브 공항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프라로는 △가덕신공항 2단계 확장과 (가칭) 가덕신공항공사 설립 △차세대 부산형 수소 급행철도(BuTX) 구축이 핵심 공약으로 제안됐다.

산업 분야에는 △인공지능(AI)·양자 산업융합 연구소 설립과 AI 네거티브 규제 테스트베드화 △전력 반도체 파워시티 조성 △북부산 노포역 일원 통합 개발이 들어갔다.

이밖에 삶의 질 분야로 △국립 영상·게임 콤플렉스 유치와 △낙동강 하구 국가 3대 녹지(금정산 국립공원, 낙동강 하구 국가도시공원, 낙동강 국가정원) 지정을 제안했다.

시는 균형발전과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위해 중요성과 상징성을 기준으로 10대 핵심 공약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허브 인프라 구축, 혁신 산업 주도 성장, 살고 싶은 정주 기반 등 3대 분야에서 총 사업비 140조 원 규모의 32개 공약 사업도 제시했다.

부울경 협력사업으로 국가 미래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부울경 1시간 생활권 구축, 남부권 광역관광벨트 조성 등을 대선 공약으로 제안하고, 지방분권 실현을 위해 (가칭) 인구지역균형발전부 신설과 지방분권형 개헌 등도 요구할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등 10대 핵심 공약은 시민 열망이 매우 높고, 지역 발전의 필수 과제”라며 “주요 정당의 대선 후보가 반드시 공약으로 채택해 주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