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 2025-08-18 19:40:00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한 다수의 더불어민주당 인사들이 이재명 정부 주요 요직 진출에 실패한 데다 ‘정청래 체제’에서도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지방의원 출신들이 중앙 부처나 국회에 자리를 찾아가며 최악은 면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오히려 체급을 낮추고 가면서 지역 정치 발전과 거리가 먼 보좌관이나 비서관 자리에만 머물고 있다. 사실상 부산 민주당 인재 풀은 전임 구청장들에 그치고 있는 실정인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인재 발굴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18일 지역 여권에 따르면 부산 출신 중 이재명 정부와 소통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는 인물은 부산 북갑을 지역구로 둔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과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내정된 차정인 전 부산대 총장이 사실상 전부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른 부산 민주당 인사들도 중앙 부처나 국회의장실로 자리를 찾아 떠났지만 체급을 높이거나 정치권 내 관심도가 높은 곳으로 나아가는 데에는 한계를 보인다. 일례로 민주당 부산진을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던 이현 전 위원장은 해양수산부 장관 정책보좌관으로 임명됐다. 이 보좌관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세계해사대 선박경영·물류학 석사를 취득했으며 8대 부산시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해 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장과 민주당 부산시당 대변인 등을 지냈다. 8대 시의회 기획재경위원장을 역임했던 도용회 전 의원은 현재 5급 상당 국회의장실 정책비서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지난 지방선거 기장군수에 출마했던 우성빈 전 기장군의원은 7급 상당 국회의장 정책비서관으로 일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들이 맡은 보좌관이나 비서관 자리가 정치인으로서는 물론 부산 민주당의 전체적 역량을 견인하고 중앙 무대와 정치권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장관이나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과는 달리 정책보좌관이나 비서관이 개인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자리도 아닐 뿐더러 유권자들이 바라보기에도 이들의 직책이 중앙당과 소통을 강화하고 지역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정도 핵심적인 역할이라 기대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의 행보에 내년 지방선거가 다가올수록 부산 민주당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각 지역위원회별로 현장 민심을 각별히 챙기고 이전보다 지역에서 넓고 끈끈한 네트워크를 구축해 전투적으로 지방선거에 나서야 하는데, 몇 없는 부산 민주당 인사들마저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등 임기가 보장되는 자리로 이동하거나 눈독을 들이기 때문이다.
당 안팎에선 전 장관이나 차 전 총장처럼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정치적 체급을 키우는 것이 아니라면 지역 민심을 챙기는 게 지방선거 승리에 더 효과적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편으론 부산 여권 정치인들이 후배 양성보다는 각자도생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이 같은 현상이 발생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현 정부의 핵심 소통 채널로 간 인물이 몇 없는 부산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 승리를 위해 장기적으로 지역 민심을 챙기고 부산 정치를 이끌어갈 수 있는 역량 있는 정치인 발굴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부산 민주당 한 관계자는 "인재 풀 자체가 전임 구청장에 그치기 때문에 지역에 머물며 민심을 다지고 부산에서 꾸준히 정치할 수 있는 인물 발굴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