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산의 고용률과 임금수준이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렀다는 실태 조사 결과가 나왔다.
1일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고용률은 57.8%로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낮았다. 고용률 1위는 전년도에 이어 제주(69.3%)가 차지했다. 이어 △전남 66.1% △충북 65.9% △세종 65.2% △충남 64.8% △경기도 64.1% 순으로 높았다. 서울은 고용률 61.7%로 11위에 머물렀다.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인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부산은 2007년부터 18년 연속 고용률이 전국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부산의 고용지표가 최하위 수준을 기록하는 배경으로는 여성의 낮은 경제활동 참여율이라는 구조적 요인이 지목된다. 지역 산업의 특성상 도소매·음식숙박·운송·창고업 등 소규모·영세 자영업 비중이 높아 근로시간이 불규칙하고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산업구조는 낮은 임금 수준과 불안정한 고용으로 이어지며 여성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더욱 제약하는 악순환을 낳고 있다.
구군별로 보면 강서구의 고용률은 69.3%로 가장 높았으며, 2023년보다 2.3%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영도구는 고용률이 47.1%에 그치며 최저치를 기록했고, 전년 대비 0.3%P 더 낮아졌다. 영도구는 실업률도 5.8%로 16개 구군 가운데 가장 높았다. 2023년 실업률이 가장 낮았던 곳은 남구(3.5%)였지만, 지난해는 동래구가 3.5%로 최저치를 보였다.
강서구와 영도구의 극명한 고용률 격차는 지역 산업구조와 직결돼 있다. 강서구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단지가 밀집해 있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일자리를 유지하며 고용률이 높은 편이다. 반면 영도구는 2000년대 조선업 쇠퇴 이후 기존 산업 기반이 빠르게 공동화되면서 지역 내 일자리 감소와 인구 유출이 동시에 진행됐다.
임금 수준도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지난해 부산의 월평균 임금은 284만 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2위에 머물렀다. 지난해보다 한 단계 올랐지만 여전히 하위권이다. 이는 전국 평균보다 30만 원 적고, 서울과 비교하면 66만 원 낮은 수치다. 다만 직전해 각각 35만원, 72만원이던 격차에 비해 5만 원, 6만 원씩 줄었다.
청년층 임금 격차도 뚜렷했다. 부산 청년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47만 원으로 전국 평균(270만 원)보다 약 9%(23만 원) 낮았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대기업에서 격차가 40만 원으로 가장 크게 벌어졌다.
부산의 낮은 임금수준은 단순한 통계적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지역 내에서 ‘양질의 일자리’ 자체가 부족한 구조적 문제가 만성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일자리가 노동시장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거주지 기준 월평균 임금은 해운대구가 358만 원으로 가장 높았고, 영도구가 239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사업체 소재지 기준으로는 강서구 소재 기업 재직자가 348만 원으로 가장 높은 반면, 북구가 252만 원으로 가장 낮았다.
부산연구원 손헌일 책임연구위원은 “부산의 임금 불평등과 노동시장 구조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고학력 인재의 타지역 유출이 가속화되고, 근로인구의 질적 저하와 경제활력 감소가 장기화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