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자도 불확실, 전후 입학자도 포함”… 부산대 교수회, ‘6·25 호국 영웅 명비’ 전면 재검토 요구

교수회, 명비 포함 명단 ‘신뢰성 결여’ 비판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 2025-09-02 15:17:38

부산대학교 전경. 부산일보DB 부산대학교 전경. 부산일보DB

속보=부산대가 교내에 한국전쟁 참전 동문을 기리는 ‘6·25 참전 호국영웅 명비’ 조성을 추진(<부산일보> 8월 8일 자 8면 등 보도)하자 교수회가 반발하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나섰다.

부산대 교수회는 3일 오전 역사적 고증 없이 진행 중인 부산대 6·25 참전 동문 명비 사업이 졸속임을 비판하는 취지의 성명서를 낼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교수회는 명비 조성 과정에서 학내 교수, 학생들의 의견 수렴과 공론화 절차가 빠졌다며 명단부터 건립 방식까지 비민주적으로 사업을 추진 지적한 대학 집행부를 비판한다.

특히 교수회는 명비에 등재된 명단에 대한 신뢰성을 문제 삼았다. 보훈부에서 부산대 측에 특정 연도의 졸업생 명단을 요구해 이를 토대로 명비 등재 명단을 확정했지만, 정작 이들이 재학 중 참전했는지와 실제 전사자인지는 제대로 확인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교수회는 실제 확인·대조 과정에서 재학 중 참전한 것이 아닌, 전쟁 이후에 입학한 동문들까지 명비에 포함된 사실을 지적했다. 교수회에 따르면 명비에 등재된 전체 255명 중 약 절반(125명·49%)이 전쟁을 겪은 이후 입학한 동문으로 파악됐다.

부산대 사회학과 주윤정 교수는 “대학에서 참전 동문들에 대한 기념비를 세울 경우 대체적으로 학생 신분으로 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이들을 기리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재학 중 참전자가 아니라도 전쟁에 관계된 동문이라면 ‘어쨌든 동문이면 된다’ 식으로 무분별하게 이름을 올렸다”고 비판했다.

부산대 측은 캠퍼스 기획위원회를 꾸려 교수를 포함한 학내 구성원과 의견을 조율 중이라는 입장이다.

부산대는 논란이 되는 명비 명칭에 대해서는 ‘참전유공자명비’로 이름을 바꾸는 방안을 포함해 논란을 최소화하는 대안을 검토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명비에 전후 입학 동문을 포함시킨 것은 대학이 임의로 결정한 사항이 아니라 보훈부와 대학이 함께 검토 과정을 거쳐 확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산대 관계자는 “누구를 포함하고 제외할지는 단순 행정 문제가 아니라 가치판단의 영역”이라며 “전쟁과 관련된 부산대 동문의 희생과 기여를 기리는 취지에서 추진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