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동진 기자 djbae@busan.com | 2025-08-31 14:57:54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15개 점포를 순차적으로 문을 닫는다. 부산 장림·울산 북구·인천 계산 등 5개 점포는 오는 11월 16일 폐점하고, 임대료 조정이 결렬된 부산 감만점과 울산 남구점 등 10개 점포도 내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영업을 종료한다
홈플러스는 오는 11월 16일 5개 점포를 폐점하기로 하고 직영 직원 468명을 대상으로 전환 배치 면담을 진행 중이라고 31일 밝혔다.
지난 3월 회생 절차를 개시한 홈플러스는 임대 점포 68개의 임대주를 상대로 진행한 임대료 인하 협상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15개 점포를 폐점하기로 했다.
홈플러스 측은 “5개 점포 폐점 결정은 연말 영업 차질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회생절차 일정을 고려한 조치”라며 “조정이 결렬된 부산 감만점과 울산 남구점 등 10개 점포도 내년 5월까지 순차적으로 문을 닫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오는 11월 16일 문을 닫는 5개 점포의 계약 만료일은 오는 2036년 12월 말이다. 나머지 10개 점포의 계약 기간도 10년 이상 남았다.
홈플러스는 그러나 이들 15개 점포는 700억 원이 넘는 임대료를 지불하느라 연간 800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15개 점포에는 채무자회생법에 근거한 해지권을 적용했다”며 “잔여 계약 기간 임대료는 손해배상금으로 청구되고 법원’의 판단에 따라 최종 확정된 금액이 회생채권으로 전환된다”고 설명했다.
회생 절차에 따른 계약 해지권 적용 시 손해배상금은 일정 부분 감액이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 대형마트는 작년 말 126개에서 이날 기준 123개로, 익스프레스(슈퍼마켓)는 308개에서 300개로 줄었다. 부산 반여점 등 3곳은 오는 2027년 폐점이 예정돼 있다.
오는 2027년까지 홈플러스 대형마트 수는 102개로 줄어든다. 홈플러스는 11개 점포에 재입점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이 역시 불투명하다.
한편 금융당국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에 검사의견서를 발송하며 본격 제재 절차에 착수했다.
31일 금융투자업계와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번 주 MBK파트너스에 검사의견서를 보내면서 제재 절차를 개시했다.
금감원은 금융위원회와 함께 지난 28일 MBK파트너스 본사를 현장 조사한 데 이어 제재 절차까지 동시에 진행하며 홈플러스 관련 사안을 전방위로 다시 들여다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당히 엄중한 사안이고 국민적 관심사인 것을 잘 알고 있다"며 "최대한 신속하게 제재를 진행하겠다는 것이 원칙"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