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영 기자 key66@busan.com | 2025-10-17 18:21:28
한국을 방문 중인 스웨덴 왕위 계승 서열 1위인 빅토리아(Victoria) 왕세녀가 스웨덴 대표단 20여 명과 함께 17일 부산을 방문했다.
이날 오전 부산에 도착한 왕세녀 일행은 스웨덴 야전병원 파견 75주년 기념식(태종대)에 참석한 데 이어 스웨덴 참전기념비(부산진구 소재)를 방문하고,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힐마 아프 클린트: 적절한 소환’ 전시를 1시간 넘게 관람하고 서울로 돌아갔다. 왕세녀가 부산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다.
빅토리아 왕세녀의 부산현대미술관 방문은 스웨덴의 추상화가 힐마 아프 클린트(1862~1944)의 예술 세계를 국내 처음으로 조명한 전시를 돌아보고, 이와 연계한 주한스웨덴대사관 특별 프로그램인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추모상(ALMA) 전시: 책과 그림이 앉은 자리’ 현장을 둘러보기 위해서다. 스웨덴 알마상은 2020년 백희나 작가가 우리나라 최초로 수상하면서 국내서도 많이 알려졌다. 힐마 아프 클린트와 동화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1907~2002)은 스웨덴이 자랑하는 예술가이다.
빅토리아 왕세녀는 특히 부산현대미술관 방문에 앞서 부산의 청년 작가와 기획자, 대학생들과 만남을 요청해 그들과 환담하는 시간도 가졌다. 왕세녀는 젊은 작가 혹은 기획자로서 최근 갖고 있는 관심은 무엇인지, 힐마 아프 클린트 전시를 통해서는 어떤 영감을 받았는지 구체적으로 묻기도 했다. 스웨덴 현지에서 힐마 아프 클린트가 가지는 위상에 대해 궁금해하는 작가들의 질문에 답하기도 했다.
환담에 참석한 작가들은 대체로 “여성 화가가 많지만, 힐마 아프 클린트는 수많은 기록을 자신이 아주 꼼꼼하게 기록해서 남긴 점과 창조적인 활동을 끝까지 밀어붙인 의지 자체가 큰 영감을 불러일으켰다”거나 “왕세녀가 청년 작가들과 이야기하고 싶어서 이런 자리를 마련해 준 것만으로도 큰 힘이 된다”고 기뻐했다. 왕세녀도 “힐마 아프 클린트는 사후에 작품이 공개되는 등 뒤늦게 작가로서 인정받았으며, 미래의 관객들에게 닿기를 희망한 것 같다”면서 “이번 부산 전시가 젊은 작가들한테 좋은 영감을 주었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한 기획자가 “다음 주 원도심에서 있을 야외 상영회에서 스웨덴 영화 한 편을 상영하는 데 직접 참석은 어렵겠지만 관심을 가져 달라”고 하자, 왕세녀는 “주한스웨덴 대사라도 참석하라고 할까요?”라고 말해 좌중엔 웃음이 터졌다.
한편, 이번 왕세녀 일행의 부산 방문은 한국전쟁 당시 인연을 맺은 양국의 우정을 기리고, 역사적 협력을 기반으로 문화·예술 분야 교류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이뤄졌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스웨덴이 부산으로 의료지원단을 파견한 이후, 부산과 스웨덴은 경제, 문화,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관계를 이어 왔다. 왕세녀를 최측근에서 수행한 안드레아스 칼손 농촌국토부 국토주택장관은 “이번 한국 방문에서 ‘한-스웨덴 ABCDE’, 즉 인공지능(AI), 바이오(Bio), 문화콘텐츠(Contents), 방산(Defense), 에너지(Energy) 분야에서 양국의 관심을 확인했다”면서 “부산 방문도 그 연장선에서 이뤄졌다”고 밝혔다.